ADVERTISEMENT

산업용 전기사용량 넉달째 마이너스…L자형 경기침체 오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3면

산업용 전기사용량이 올해 4월부터 7월까지 4개월 연속 줄었다. 전력 수요가 가장 많은 산업 부문에서 장기간 감소세가 이어진 것은 이례적이다. 22일 한국전력의 전력통계속보에 따르면 지난 7월 산업용 전력판매량은 2만4609GWh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 줄었다. 전년 대비 감소율은 4월 -0.8%, 5월 -1.0%, 6월 -1.8%로 점차 커지는 추세다.

전력 수요는 GDP와 정비례 경향 #실제 제조업 생산능력 1년째 하락

산업용 전력은 국내 전체 전력소비의 57%(7월 기준)를 차지하고 있다. 2015년부터 3년간 추세를 보면 감소세를 나타낸 것은 연중 1∼2개월에 불과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서는 지난 2월(-3.4%)까지 포함해 5개월이나 감소세다.

산업용 전력판매증감률 추이,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산업용 전력판매증감률 추이,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일반적으로 전력 수요는 국내총생산(GDP)과 정비례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이 같은 산업용 전력 수요 감소는 경제성장률의 하락이나 경기침체의 본격화를 방증하는 지표의 하나로 여겨진다. 실제 통계청의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 생산능력은 지난해 8월부터 12개월째 하락 중이며 7월 산업생산 능력은 전년 대비 1.6% 감소했다.

이미 경기동행·선행지수의 동반 하락,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의 6개월 연속 ‘부진’ 판단 등 경기침체의 그림자는 짙어지는 추세다. 통계청은 최근 경기정점을 2017년 9월로 확정했다. 그때부터 한국 경기의 수축 국면이 시작됐다는 의미인데, 앞으로 6개월 이상 부진이 계속된다면 역대 최장 기간 기록을 세우게 된다. 문제는 경기국면이 경기저점을 찍은 후 서서히 반등하는 ‘U자형’보다 침체가 계속 이어지는 ‘L자형’에 가까운 흐름으로 전개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는 점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의 올해와 내년 성장 전망을 지난해 11월 각각 2.8%·2.9%로 잡았다가 최근 10개월 만에 2.1%·2.3%로 낮춘 점도 이런 맥락으로 분석된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현재 실질성장률이 잠재성장률에도 미달하는 ‘GDP 갭’을 감안하면 한국의 체감 성장률은 이미 0%대”라며 “소득주도성장 패러다임에 사로잡혀 실물경제에 부담을 주는 정책을 계속 펼치고 있는 점도 반등을 더디게 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L자형’ 경기 흐름은 1990년대 이후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이 대표적이다. 현대경제연구원 이부형 이사는 ‘일본 사례로 본 저성장의 의미’ 보고서에서 “한국이 일본을 뒤따라갈 가능성이 작지만, 지금처럼 경기 회복력이 약한 상황에서는 정책 실기가 장기 침체를 유발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세종=손해용 기자 sohn.y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