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文 "트럼프, 대북 식량지원 축복했다…야당과도 논의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은 9일 대담에서 “대북 식량 지원 문제, 남북문제 등에 국한해서 (야당과) 회동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일단 우리가 식량 지원을 하게 되면 남북협력기금을 사용해야 하는데 사후에 국회에 보고도 해야 한다”며 “패스트트랙 문제같이 당장 풀기 어려운 주제가 곤란하다면 식량 지원 문제, 남북문제 등에 국한해서 회동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오후 청와대 상춘재에서 열린 문재인 정부 2년 특집 대담 ‘대통령에게 묻는다’에서 사회자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오후 청와대 상춘재에서 열린 문재인 정부 2년 특집 대담 ‘대통령에게 묻는다’에서 사회자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문 대통령은 대북 식량 지원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도 소개했다. 지난 7일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은) 한국의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에 대해 절대적으로 축복을 한다”고 했다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오후 청와대 상춘재에서 열린 문재인 정부 2년 특집 대담 ‘대통령에게 묻는다’에서 사회자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오후 청와대 상춘재에서 열린 문재인 정부 2년 특집 대담 ‘대통령에게 묻는다’에서 사회자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대북 식량 지원 문제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먼저 거론한 것인가.
“통화의 첫 목적은 지난번 (발사체) 발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를 공유하기 위한 것이었다. 트럼프 대통령 말씀은 ‘김정은 위원장과 대화를 원하고 대화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였다. 그러면서 ‘대화의 속도를 내기 위해 어떤 일을 할 것인가’라고 제게 질문도 했기 때문에 자연스레 대북 식량 지원 문제가 논의된 것이다.”

-우리 정부가 선도하는 차원이라는 말씀이신가?
“우리 정부가 비축하는 재고미가 국내 수요를 훨씬 넘어서서 해마다 보관 비용만 6000억원 정도 소요되는 실정이다. 북한의 심각한 기아 상태를 외면할 수 없고, 동포애나 인도주의적 차원에서라도 북한에 식량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대화교착 상태를 조금 열어주는 그런 효과도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북한의 발사체로 식량 지원 문제에 대해 국민의 혼란·반감이 있을 수 있다.
“식량 지원에 대해서 한·미 간에 합의한 것이 발사 이전이다. 그 이후 또다시 발사 있었기 때문에 이 점에 대해선 국민의 공감과 지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여야의 충분한 논의도 필요하다.”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이후 북ㆍ미 간극 좁힐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됐나.
“양국이 비핵화 대화의 최종목표에 대해서는 완전히 일치를 보고 있다. 문제는 어느 순간에 짠하고 한꺼번에 교환될 수 없기 때문에 거기에 이르는 로드맵이 필요한데 이 점에서 의견이 맞지 않는 것이다.”

-4차 남북 정상회담은 지지부진한 상태다.
“지지부진하다고 말씀하기는 좀 그렇다. (하노이) 정상회담 이후에 나름대로 입장을 정리하는 시간이 있었을 테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이 있었다. 이제 북한이 대화할 수 있는 상황이 됐기 때문에 지금부터 북한에 적극적으로 회담을 제안하고 또 대화로 이끌어 낼 계획이다.”

-지난해 4ㆍ27회담 때 도보다리에서 한 얘기는 뭔가.
“저도 사실은 그때가 참 좋았다. 그때 김정은 위원장은 자신들의 비핵화 의지에 대해서 그냥 아주 진솔하게 표명했다. ‘핵 없이도 안전할 수 있다면 우리가 왜 제재를 무릅쓰고 힘들게 핵 들고 하고 있겠느냐’는 의지를 표명했고, ‘미국과 회담을 해본 경험이 없고, 참모들 가운데도 경험이 별로 없는데 회담한다면 어떻게 하는 게 좋겠냐’ 등 여러 조언을 구했다.”

-과거사가 한ㆍ일 관계 족쇄인데 새 일왕 계기로 바뀔 수 있을까.
“일본 새 천황의 즉위를 계기로 한ㆍ일 관계가 발전했으면 좋겠다는 희망을 갖고 있다. 인권의식이 높아지고 국제 규범이 높아지면서 조금씩 상처들이 불거져 나오는 것인데 이 문제들로 인해 미래지향적 협력 관계가 손상되지 않도록 양국 정부가 지혜를 모아야 한다. 그런데 일본 정치 지도자들이 과거사를 국내 정치문제로 다뤄 양국 미래지향적 발전의 발목을 잡는 일이 거듭된다. 다음 달에 (G20 참석차) 일본을 방문할 텐데 아베 신조 총리와 회담할 수 있다면 좋은 일이라 생각한다.”

위문희·성지원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