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상 의장이 한국당 의원에게 편지 보낸 사연은

중앙일보

입력

“매우 뜻깊은 서신을 보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문희상 국회의장이 18일 한 야당 의원에게 보낸 편지 내용 중 일부다. 한 문장에 부사어인 ‘매우’, ‘대단히’가 두 개나 포함된 걸 보니 꽤 고마웠던 모양이다.

문 의장 서신의 수신자는 자유한국당 김현아 의원. 김 의원이 이틀 전 문 의장에게 보낸 서신의 답장 성격이다. 김 의원이 문 의장에게 어떤 내용의 편지를 보냈기에 드잡이질하기에 바쁜 국회에서 보기 드물게 훈훈한 장면이 연출된 걸까.

문희상 국회의장이 10일 오전 국회 로텐더홀에서 열린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개원 100주년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국회사진기자단]

문희상 국회의장이 10일 오전 국회 로텐더홀에서 열린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개원 100주년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국회사진기자단]

“임시 의정원 개원 100주년에 국내외에서 기념사업들이 진행 중이지만 여성의원 7인에 대한 관심과 재조명의 노력은 없다. 국회가 그들의 업적을 수집하고 기록을 남길 수 있도록 도와 달라.”

김 의원이 쓴 편지의 일부다. 1919년 임시 의정원의 첫 회의가 중국 상하이에서 열렸는데, 이후 1946년 2월 해산될 때까지 여성 의원은 김마리아ㆍ양한나ㆍ최혜순ㆍ방순희ㆍ김효숙ㆍ지경희ㆍ신정완 등 7명이 전부였다. 그나마 최초의 여성 의원으로 정신 여학교를 졸업하고 모교의 교원을 지낸 김마리아 외엔 활약상도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공창제 폐지를 추진하고 첫 여성 수도여자 경찰서장을 지낸 양한나 의원을 비롯한 최혜순ㆍ방순희ㆍ김효숙ㆍ신정완 의원 등은 공적을 인정받아 정부의 훈장을 추서 받았지만, 시민들에겐 여전히 낯선 이름이다. 지경희 의원의 경우는 알려진 행적조차 거의 없다.

김현아 자유한국당 의원.[뉴스1]

김현아 자유한국당 의원.[뉴스1]

김 의원이 7인의 임시 의정원 여성의원 재조명에 관심을 가진 건 이달 초 국회 5당 원내대표단, 독립유공자 후손인 이종걸ㆍ우원식 의원 등과 함께 중국 상하이에 다녀온 뒤부터다.

김 의원은 “상하이에서도 방순희 의원 한 분의 사진만 찾아볼 수 있었다. 그마저도 단체 사진에 들어간 얼굴이었고, 이름도 적혀있지 않았다. 가이드가 ‘저분이 방순희 의원이다’라고 설명해서 알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여성 의원이기도 하지만 여성 독립 운동가였다는 점에서 재조명의 의미가 크다. 일가족이 다 독립운동을 하다가 말살되거나 결혼을 하지 않아 후손도 없는 까닭에 역사적으로 잊히게 됐다”고 덧붙였다.

국회 헌정기념관에 걸려 있는 김마리아 선생의 사진.[김현아 의원실 제공]

국회 헌정기념관에 걸려 있는 김마리아 선생의 사진.[김현아 의원실 제공]

김 의원의 안타까움이 묻어 있는 서신에 문 의장은 “(7인의 여성 의원에 대해) 지금까지 너무 관심이 부족했다. 헌정기념관의 국회 역사관이 내년부터 전면 리모델링에 들어갈 예정이다. 그때 임시 의정원 여성 의원들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조명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찾아보겠다”고 답했다.

국회 헌정기념관의 김효숙·방순희 선생[김현아 의원실 제공]

국회 헌정기념관의 김효숙·방순희 선생[김현아 의원실 제공]

박찬승 한양대 사학과 교수는 “그동안 학계에서도 임시정부뿐만 아니라 임시 의정원 연구도 거의 되지 않은 편이다. 지금도 여성 의원들이 적은데, 과거의 여성 의원들을 조명해서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성빈 기자 im.soungb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