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부작용 모니터제 실효 없다|신약 개발정책 심포지엄서 이민화 교수 주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신약개발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의약품의 부작용을 감시(모니터링)하는 제도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의약품의 부작용은 병원 입원율·합병증·사망률을 높여 국민건강을 좀먹는 것은 물론, 국민의료비의 상승을 부추기기 때문이다.
서울대 약대 이민화 교수(서울대병원 약제부)는 최근 보사부주최로 열린「신약개발 정책에 관한 심포지엄」에서 미국의 경우 식품의약국(FDA)에 보고되고 있는 의약품 부작용사례는 제약회사로부터 90%, 의료인과 일반소비자로부터 10%가 각각 보고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의약품 부작용 모니터링」이 약품을 개발, 판매하는 제약회사의 책임아래 거의 이뤄지고 있음을 뜻한다는 것.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보사부가 부작용 모니터링 약국 및 병원을 지정, 새로 시판되는 약품이 빚어내는 부작용을 보고토록 협조를 요청하고 있으나 어느 정도 실효를 거두고 있는지 의심스러운 상태.
특히 부작용의 감시와 보고가 약이 시판된 다음에야 뒤늦게 이뤄지고 있으며 시판약물이 대부분 외국개발제품이기는 하나 제약업체들의 부작용에 대한 관심이 크게 뒤떨어져 있는 실정.
이에 따라 약의 효능과 안전성을 위해 많은 과학적 임상지식이 필요한 신약개발에 높은 관심이 쏠리고 있는 현실성에서 잘 조직되고 효율성이 높은 의약품 부작용보고 시스팀이 확립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한편 한국 과학기술 연구원 박종세 박사(도핑컨트롤센터)는「신약개발 전문인력의 활용방안」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제약업체들의 연구개발비 투자가 크게 확대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계의 유명한 제약기업들의 경우 매출액 중 평균15%를 연구개발비에 쏟고있으며 일본도 평균 8.5%를 연구개발비에 투자하고 있다.
이에 비해 국내제약업체 중 매출액대비 연구개발비가 5%이상 되는 곳은 14%에 불과하며 최고수준도 5.9%에 그치고 있다는 것. <김영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