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이미선 찬성 여론 급증"···알고보니 질문 달라졌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미선 헌법재판관 후보자 [뉴스1]

이미선 헌법재판관 후보자 [뉴스1]

여론조사 기관 리얼미터는 35억 원대 주식을 소유해 논란이 된 이미선 헌법재판관 후보자 관련 여론조사 결과를 지난 15일과 18일 두 차례 발표했다. 첫 번째 조사(CBS 의뢰로 지난 12일 전국 성인 504명 설문)에서는 이 후보자가 헌법재판관으로서 부적격하다는 응답이 54.6%, 적격하다는 응답이 28.8%로 ‘부적격’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런데 두 번째 조사(tbs 의뢰로 지난 17일 전국 성인 501명 설문)에서는 이 후보자 임명에 찬성하는 의견이 43.3%, 반대하는 의견이 44.2%로 여론이 팽팽하게 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리얼미터는 이에 대해 “닷새 전에 실시한 이미선 후보자의 적격성 조사결과에 비해 긍정 여론이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부정 여론은 크게 감소한 것”이라며 “여론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것은 이 후보자 측의 적극 해명 등에 따른 기류 변화가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더불어민주당 박광온 최고위원도 19일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후보자 임명과 관련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니 임명 찬성 여론으로 호전됐다. 국민이 주식거래 위법성 불법성 드러난 게 없다고 확인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이 후보자 임명을 강행한 데엔 두 번째 여론조사가 큰 보탬이 됐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픽 = 신재민 기자 nugu@joongang.co.kr

그래픽 = 신재민 기자 nugu@joongang.co.kr

하지만 야권은 두 조사를 일대일로 비교하는 것은 아전인수격 해석이라는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두 여론조사의 설문 문항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첫 번째 조사에서 리얼미터는 “최근 이미선 헌법재판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열렸습니다. 선생님께서는 이미선 후보자의 헌법재판관의 자격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고 물었다.

하지만 두 번째 조사에서는 “여야 정치권이 이미선 헌법재판관 후보자의 임명을 두고 대립하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은 이 후보자에 대한 청문 보고서를 국회에 다시 요청했습니다. 선생님께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이미선 후보자를 헌법재판관으로 임명하는 데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고 질문했다.

첫 번째 질문은 이 후보자에 대한 순수한 개인적 의견을 물어본 것이지만 두 번째 질문은 두 번이나 문재인 대통령이 등장하면서 정치적 성격이 가미된 것이다. 즉 두 번째 조사에선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정치적 입장에 따라 답변이 달라질 가능성이 커진 셈이다.

18일 오후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문형배·이미선 헌법재판관 후보자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 문제를 놓고 여야 간 의견 차로 여당 의원들이 회의에 참석하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

18일 오후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문형배·이미선 헌법재판관 후보자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 문제를 놓고 여야 간 의견 차로 여당 의원들이 회의에 참석하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전희경 대변인은 이날 “다른 두 가지의 질문을 놓고 마치 동일 선상에서 질문을 던진 뒤 여론이 바뀐 것처럼 호도하는 것은 중대한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를 뻔히 알면서도 왜곡된 여론을 내놓는 해당 기관에 대해서도 유감을 표시한다”고 밝혔다.

여론조사 전문가인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도 “두 여론조사는 다른 조사여서 일대일로 비교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배 소장은 “여론조사에선 응답자의 답변이 질문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데, 이것을 ‘질문 효과’라고 한다. 첫 번째 조사의 질문은 이 후보자에 대한 긍정ㆍ부정 판단이 기준이다. 두 번째 조사는 문 대통령의 판단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를 물은 것이다. 문 대통령이 잘했느냐, 못 했느냐는 것이다. 이 때문에 두 번째 조사 결과가 문 대통령 지지율과 비슷하게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에대해 리얼미터는 해명자료를 내고 “엄격하게 보면 서로 다른 조사의 결과로 여론의 흐름을 분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면서도 “다만 서로 다른 질문이라 하더라도 동일한 주제나 소재이고 복수의 정보가 존재한다면, 여론의 흐름을 분석하는 데는 크게 무리가 없다”고 주장했다.

윤성민 기자 yoon.sungm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