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환경부 “야외용 공기정화기 개발하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미세먼지 대책 브리핑에서 중국과의 공동대응 협력 및 고농도 미세먼지 긴급조치 강화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미세먼지 대책 브리핑에서 중국과의 공동대응 협력 및 고농도 미세먼지 긴급조치 강화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환경부가 미세먼지 저감 조치로 야외용 공기정화기를 개발해 도심에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그러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고농도 미세먼지 긴급조치’를 발표했다. 핵심은  중국과 협력 강화, 고농도 때 차량 운행제한 강화, 야외용 공기정화기를 개발해 도심에 설치 등 크게 세 가지다. 이날 발표에서 가장 새로운 내용은 야외용 공기정화기를 개발해 서울 등 도심의 공공시설 옥상이나 지하철 배출구 등에 설치하겠다는 내용이었다.

환경부는 추가경정 예산에 이 사업을 담아 연내에 실시하고 차후에는 공기정화기를 수출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기기당 드는 비용은 1억∼2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조 장관은 “이게 한국의 새로운 공기산업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의미 있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의욕을 보였다.

그러나 일각에선 고농도 미세먼지가 중국과 한반도를 모두 덮을 정도로 광범위한데, 야외용 공기정화기 설치로 과연 미세먼지 농도를 낮출 수 있느냐는 상식적인 의문을 내놓았다.

이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미세먼지로 인해 국민의 우려가 매우 큰 상황에서 정부는 할 수 있는 대책을 총동원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중국과 협력 강화 부분에서 환경부는 연내 서해 상공에서 중국과 공동으로 인공강우 실험을 하고 양국이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공동 시행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인위적으로 비를 내리게 해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기 위한 실험은 세계 곳곳에서 이미 이뤄졌지만 한 번도 성공한 적이 없다. 기상청과 환경부가 올해 1월 했던 실험도 실패했다. 현재 기술로는 미세먼지를 씻어낼 만큼 많은 비를 만들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조 장관은 “여러 논란이 있다”면서도 “중국의 앞선 인공강우 기술을 이용해 해상 혹은 연안에서 인공강우 실험을 하면 미세먼지 저감 가능성을 도출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기술적인 문제도 있지만, 현재 중국과 한국이 미세먼지의 원인과 영향에 대한 양국 간 이견이 있는 상황에서 필요한 정보 교환이 충분하게, 원활히 이뤄질 수 있을지 의문이다.

차량 운행제한 강화의 성공 여부도 시민참여에 달려 있다. 현재는 비상저감조치 때 서울에서 총중량 2.5t 이상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의 운행을 제한하고 행정ㆍ공공기관의 차량 2부제를 실시한다. 지만 정부는 이런 조치가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보고 비상저감조치 발령 일수에 따라 운행을 제한하는 차량을 늘리겠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조 장관은 “둘째 날까지는 5등급, 3∼4일째에는 4등급, 일주일 이상 지속하면 전국적으로 자발적 2부제를 실시하는 것도 방법”이라며 “국민 불편이 따르지만,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해야 한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