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가구 가처분소득, 금융위기 후 최대폭 감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손에 쥐는 수입은 줄어드는 와중에 세금ㆍ이자 부담은 계속 늘어난다. 언제 퇴사할지 모르는 고용 불안에 시달리지만, 이미 자영업은 은퇴자의 ‘무덤’이라 창업도 마땅찮다. 한국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몰려있는 연령층인 50대, 이 가운데서도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50대 가구주가 마주한 현실이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50대가 가구주인 가계의 명목 월평균 가처분소득(전국ㆍ2인 이상)은 412만원으로 1년 전보다 2.4%(10만2000원) 줄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2분기(-2.9%) 이후 가장 큰 낙폭이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지난해 4분기 전체 가구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2.1%로  2015년 2분기(3.1%) 이후 증가 폭이 가장 컸는데, 유독 50대 가구만 내리막으로 치달은 셈이다. 가처분소득은 명목소득에서 조세ㆍ연금ㆍ이자 비용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것으로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이다. 가처분소득이 줄었다는 것은 그만큼 가계의 실질적인 경제 여력이 줄었다는 뜻이다.

여기에는 우선 최근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이어진 고용 부진이 영향을 미쳤다. 50대 가구주 가계의 ‘근로소득’은 1년 전보다 0.1% 줄면서, 증가율은 2013년 4분기(-0.7%) 이후 5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근로소득이 주춤하면서 전체 소득 증가 폭은 2017년 2분기(0.5%) 이후 가장 작은 1.3%에 그쳤다. 통계청 관계자는 “50대 가구주 가계 구성원의 취업인원수 감소율이 60세 이상 가구주 가계에 이어 두 번째로 컸다”고 말했다.

비소비지출이 증가한 여파도 컸다. 50대 가구주 가계의 비소비지출은 125만8000원으로 1년 전보다 15.5%(16만8000원) 늘었다. 월평균 전체 소득(537만8000원)의 4분의 1 정도(23.4%)를 세금이나 국민연금 같은 공적 연금ㆍ보험, 대출이자에 쓰고 있는 것이다. 이런 비소비지출은  가계가 줄이려고 해도 자율적으로 조율할 수 없는 분야다. 증가 속도도 빠르다. 2017년 4분기에는 비소비지출 비중이 20.5%였는데 1년 새 2.9%포인트나 늘어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자 비용은 평균 4만1000원(48.2%) 증가했다. 최근 수년간 가계부채가 급격히 팽창한 상황에서 지난해 금리까지 오르면서 50대 가구주의 이자 부담이 급격히 늘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기준 50대 가구주 가계의 평균 금융부채는 9104만원으로 40대(9979만원)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금융대출 중 금리가 높은 신용대출 비중은 50대(15.4%)가 40대(13.9%)보다 더 높았다.

경상조세는 평균 7만2000원(42.2%) 늘었다. 세금 증가와 공적 보험료 인상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전체 가구의 평균 이자ㆍ경상조세 증가율은 24.1%, 29.4%에 불과해, 50대 가구주 가계와 큰 격차를 나타냈다.

50대 인구는 지난해 기준 838만명으로 가장 많은 인구가 몰려있는 연령층이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6.6%나 된다. 1955∼1963년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도 일부 포함돼있다. 이런 점에서 은퇴를 앞둔 50대 가구주 가계의 경제력 악화는 저출산 고령화와 맞물려 심각한 노인 빈곤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소비ㆍ저축을 할 수 있는 가처분 소득이 줄면 그만큼 50대 가구주의 노후 준비는 부실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은퇴 시기는 앞당겨지고 퇴직 후 다른 일자리 얻기가 만만치 않다는 점이다. 앞으로의 소득은 불안정한데 각종 부담만 늘어나는 셈이다.

일단 과거처럼 은퇴 후 치킨ㆍ커피전문점 창업 등으로 제2의 인생을 시작하는 것은 위험이 크다. 은퇴자들이 쉽게 진입하는 숙박ㆍ음식점, 도ㆍ소매의 3년 생존율은 각각 30.2%, 35.5%로 자영업 평균(39.1%)을 한참 밑돈다. 특히 최근 들어 매출은 줄어드는데 인건비와 임대료 등은 오르면서 자영업 폐업이 속출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은퇴한 50대 중 일부는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일용직에 눈을 돌리고 있다. 아르바이트 포털 알바몬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12월까지 50대 이상 아르바이트 구직자가 2016년 대비해서 4.8배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 알바 구직자 중 5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도 1.6%에서 2.8%로 증가했다.

정부도 50대의 소득ㆍ고용상황이 위기라는 진단 아래 각종 대책을 내놓고 있다. 신중년 경력활용 지역서비스 일자리사업, 신중년 직업훈련교사 양성과정 등을 신설하고, 고용장려금 지원 대상과 액수도 두 배 이상 늘릴 계획이다. 한국노동경제학회장을 역임한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연금 인상이나 공공일자리처럼 사회복지 성격이 강한 재정지출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은퇴자가 안정적인 노후를 위해 일자리를 가질 수 있도록 직업전환ㆍ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

세종=손해용ㆍ김도년 기자 sohn.y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