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때 무너진 고용, 유독 20대만 회복 못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고꾸라진 고용률이 최근까지 꾸준히 증가세를 이어왔지만 유독 20대만 아직도 당시 고용률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없는데 결혼, 출산 꿈도 못 꿔

이른바 'N포세대(3포세대는 연애·결혼·출산을, 5포세대는 집과 경력을 포함해 5가지를 포기한 것)'가 나온 배경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다.

20대 고용 부진은 장기 빈곤계층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어 국가 복지 부담을 가중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또한 실업으로 인해 결혼→출산→육아 등으로 이어지는 가정 형성도 미뤄지게 돼 저출산 현상이 더욱 깊어질 수 있다는 염려도 제기된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6일 산업연구원(KIET)의 '최근 연령대별 인구의 변동과 산업별 고용 변화'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17년까지 고용률이 회복세를 보였다. 50대와 60세 이상이 가장 빠르게 오르고, 30대와 40대는 이보다 낮지만,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20대만이 아직도 당시의 고용률을 회복하지 못했다.

고용률은 취업자 수를 생산가능인구로 나눈 값이다. 20대 청년층의 월평균 고용률은 지난해 1∼10월까지 57.8%로 2009년 수준보다 0.6%포인트 밑돌았다. 2009년을 기준(100)으로 봤을 때 20대 고용률은 98을 조금 웃도는 정도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렇다고 청년층이 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 취직을 미룬 건 아니다. 김주영 연구위원은 "고등교육기관 진학률이 2010년을 정점으로 완만하게 내리막인 점을 고려하면 대학원 등에 진학하느라 청년고용률이 오르지 않은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20대 생산가능인구는 695만2000명으로 최저점을 기록한 2013년보다 26만5000여명 증가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이러한 현상은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자녀들인 에코 세대(1979~1992년생)의 청년층 진입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전쟁 후 대량 출산이라는 현상이 수십 년이 지난 후 2세들의 출생 붐으로 재현되는 것을 '메아리(에코)'에 빗댄 말이다.

산업별 20대 취업자 수 변화를 보면 제조업의 경우 2015년에서 2018년 사이 2만6000명 감소하면서 연평균 1.4% 떨어졌다. 한편 같은 기간 건설업은 3만6000명 증가로 연평균 10.6% 올랐다. 20대의 건설업 취업자 수 증가는 조선업 구조조정, 자동차산업 부진, 서비스업에서 수요침체에 따른 '반사이익'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건설업 신규투자가 저조해 그나마 건설업 일자리마저 많이 늘어나기 어려울 전망이다.

보고서는 "청년층 고용 부진은 우리 경제의 일자리 창출 능력이 떨어지고 인구학적으로도 에코 세대가 20대에 진입하면서 상황이 더 악화한 데 따른 것"이라며 "에코 세대가 대학을 졸업하고 노동시장에 본격 진입하는 향후 몇 년이 청년고용의 증대 고비"라고 분석했다.

에코 세대는 경기 불황과 저성장 속에 취업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결혼·출산을 미루는 경향을 보인다. 바꿔 말해, 취업을 하게 되면 가정 형성 시기가 빨라질 수 있다는 뜻도 된다. 실제로 청년이 1년 일찍 취직하면 초혼 시기가 약 3개월 앞당겨진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회예산정책처가 2007년~2016년 첫 직장을 얻은 청년 7300명과 결혼한 사람 2300여명을 분석한 결과, 첫 직장 입사 연령이 1세 어려지면 초혼연령이 평균 0.28세, 약 3개월 정도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후 결혼을 위한 경제적 여건이 조성됐기 때문이다. 최근 남성의 평균 초혼연령은 32.9세, 여성은 30.2세로 1998년보다 각각 4.1세, 4.2세 상승했다.

김주영 연구위원은 "노동시장에 대한 적절한 정부 대책 부족으로 청년 시기에 노동시장 진입에 실패하면 장기적인 빈곤층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이는 개인적인 불행이자 국가적으로도 경제성장 저하 및 복지 부담 가중이라는 점에서 문제"라고 지적했다.

한편 30대는 상대적으로 좋은 고용률을 보였으나 취업자 증가에 따른 것이라기보다는 생산인구 감소 영향이 컸다.

40대의 경우 취업자 수의 70% 이상인 서비스업에서 최근 고용 부진이 두드러졌다. 특히 지난해 10월까지 기준으로 서비스업 종사자 수는 1년 전보다 10만1000명 감소해 40대 고용감소(11만1000명)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50대는 2015년~2018년 제조업·건설업·서비스업 모두에서 같은 기간 인구증가율 1.2%를 웃도는 취업자 수 증가가 나타났다.

60대 이상은 고령층의 건강상태가 개선되면서 양호한 취업 증가세를 보였다. 60대 초반 고용률은 60%에 달해, 20대 고용률(57.8%)보다 1.6%포인트 높았다.

김 연구위원은 "20대 에코 세대로 인한 생산가능 인구의 증가라는 변화와 경제의 허리인 40대 서비스 업종 취업자 수 감소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며 "제조업 경쟁력 회복과 고부가가치 서비스 시장 육성을 통한 서비스업의 고용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세종=서유진 기자 suh.you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