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미국 금리 인상에, 5% 다가선 한국 대출금리도 더 오를 듯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9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 나선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AP=연합뉴스]

19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 나선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AP=연합뉴스]

 움직일 여지가 생겼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상의 속도 조절을 예고하며 한국은행의 운신의 폭이 조금 넓어졌다.

정부ㆍ한국은행 20일 대책 회의 #“외국인 자금 흐름 영향 없을 듯” #Fed 내년 인상 속도 조절 시사로 #한은 통화정책 운신 폭 확대돼 #

 금리 격차 확대에 따른 자금 유출 우려의 부담을 덜면서 국내 경기 상황에 따른 통화정책을 펼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가계 빚 부담은 좀 더 커질 전망이다.

 Fed는 18~19일(현지시간) 열린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를 연 2.25~2.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올들어 네번째 인상이다.

 지난달 30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0.5%포인트로 줄어들었던 양국 금리 격차는 다시 0.75%포인트로 벌어졌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0일 출근길에서 기자들과 만나 “(금리 인상이) 예상외의 결과는 아니었다”며 “시장은 인상 여부보다 앞으로의 금리 인상 방향에 대한 메시지에 관심이 많았다”고 말했다.

 시장에 전한 Fed의 메시지는 속도 조절이다. 올들어 네 차례 금리를 올리며 인상의 가속 페달에 올려놨던 발의 힘을 살짝 빼는 모양세다. Fed는 내년도 금리 인상 전망을 3회에서 2회로 낮췄다.

 세계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 탓이다. 이를 반영하듯 19일(현지시간) 발표한 성명서에는 “세계 경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겠다”는 문구가 추가됐다.

 미국이 돈줄을 죄는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전망에 시장의 부담은 줄었다. 그럼에도 내년 2회 인상으로 더 벌어질 정책금리 격차다.

 국내 경제 지표만으로 살펴보면 한국은행이 내년에 추가로 금리를 올릴 가능성은 낮다. 기준금리를 인상한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도 금리 동결을 주장하는 금통위원 2명의 소수의견이 등장했다.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이 올해와 내년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잇따라 하향 조정했다. 고용관련 지표도 여전히 적신호가 켜진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내년에 금리를 두 번 올리면 한국과 미국의 정책금리 격차는 1.25%포인트까지 확대된다. 시장이 불안을 느끼는 지점인 1%포인트 역전은 시간문제다.

 경기 둔화를 우려하는 미국이 긴축 스케줄을 당겨 내년 상반기에 2번의 금리 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 때문이다.

 이미 역전된 한국과 미국 금리차가 더 벌어지면 자본의 유출을 자극할 수 있지만 아직까지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것이 정부와 한국은행의 판단이다.

 이주열 총재는 “금리가 얼마 이상 벌어지면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20일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호승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내외금리 차가 연초부터 역전되고 있지만 (외국인자금 흐름에) 영향을 줬다고 보지 않는다”며 “종합적인 포트폴리오 구성이나 위험자산 비중 조정의 영향을 받는데 최근에는 특별한 움직임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3분기 1500조원을 돌파한 가계 빚 부담은 더 커질 수 있다.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으로 시장금리가 더 오를 수 있어서다. 이미 5%에에 근접한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올라갈 수 있다.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에서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ㆍ자금조달비용지수) 금리는 꾸준히 오르고 있다. 11월에도 신규 취급액 기준은 전달보다 0.03%포인트, 잔액 기준은 0.02%포인트 올랐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과 미국 정책금리 인상의 영향이 본격 반영될 12월에는 대출 금리가 더 뛸 수 있다. 코픽스는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ㆍ적금, 은행채, 상호부금, 주택부금, 양도성예금증서(CD) 등 수신상품 금리 변동이 반영되는 만큼 결국 대출금리가 오를 수밖에 없다.

 정부도 이러한 위험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 차관은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국내 시중금리 상향 움직임은 감내할 수준으로 판단된다”면서도 “추가 불안 요인에도 철저히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하현옥 기자 hyunoc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