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에 탄약ㆍ물자 보급…‘드론 수송병’ 2024년부터 뜬다

중앙일보

입력

지난 5월 23일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드론교육센터 개원식에서 드론 실비행 시범이 펼쳐지고 있다. 2018.5.23 [육군]

지난 5월 23일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드론교육센터 개원식에서 드론 실비행 시범이 펼쳐지고 있다. 2018.5.23 [육군]

국방부가 2024년부터 ‘드론 수송병’을 도입하기로 했다. 병사나 차량이 아닌 드론을 통해 식량과 탄약을 전장에 실어 나른다는 계획이다.
국방부가 국방개혁 2.0의 한 갈래로 8일 발표한 군수지원 역량 확대 및 효율성 향상 방안의 하나다. 국방부는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국방에 선제적으로 도입해 나갈 예정이라며 이같이 알렸다.
국방부는 드론을 평시 지상에서 접근하기 힘든 격오지나 고립부대에 긴급하게 필요한 군수품을 운반하는 데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지금까지 육군 전방 철책 사단, 공군 방공ㆍ관제부대, 해군과 해병대의 도서 부대가 군수품을 받으려면 헬기를 이용했다. 헬기의 역할을 일정 부분 드론이 대신하는 방식이다. 전시에도 수송용 드론이 보급품을 나른다.
지금까지 군은 드론을 주로 정찰과 공격용으로 개발해 왔다. 감시장비를 탑재한 드론의 활용은 이미 일상화됐다. 군은 적의 목표물을 향해 돌진해 자폭하는 전투 드론도 개발 중이다. 여기에 더해 수송에 드론을 활용하겠다는 게 국방부의 계획이다.
국방부 당국자는 “헬기의 경우 운용비가 비싸고, 덩치가 커 적에게 발각될 수도 있다”며 “반면 드론은 운용비가 싸고, 덩치가 작아 적이 발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수송용 드론을 국내에서 개발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지만, 여의치 않을 경우 해외 도입하는 가능성도 열어뒀다. 인공지능을 활용해 좌표만 알려주면 수송용 드론이 스스로 날아가도록 설계할 방침이다.

국방부는 첫 단계로 산업부 및 드론 제작업체와 협력해 올해 후반기부터 수송용 드론 시제기 2대를 들여올 계획이다. 2023년까지 모두 10대의 시제기를 운용해 평가를 마친 뒤 2024년부터는 전 군에 수송용 드론을 보급한다.

수송용 드론은 전 세계 군 당국이 앞다퉈 개발하고 있는 무기 체계다. 미국 육군과 해병대가 개발하고 있는 JTARV(합동 전술 항공 보급 운송수단)은 4개의 회전날개를 달아 130㎞의 보급품을 싣고 시속 97㎞의 속도로 수송한다. 보잉이 지난 1월 공개한 수송용 드론은 225kg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다.
한국 육군도 2016년 항공대와 공동 개발한 수송용 드론을 선보인 적 있다. 이 드론은 한 번에 20㎏의 군수품을 들어 올려 약 5㎞의 거리를 날아갔다.

국방부는 또 내년 하반기까지 현재 6개로 표로 나눠진 군수업무 관련 정보체계를 하나의 통합체계로 묶는 군수통합정보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2020년부터 빅데이터 분석기반체계를 단계적으로 군에 도입한 뒤 군수통합정보체계와 융합하기로 했다. 빅데이터를 활용하면 소요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국방부는 기대하고 있다.

국방부는 한편 단종되거나 조달이 어려운 부품을 3D 프린터로 생산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미 지난해 12월 산업부와 업무협약을 맺었고. 이를 바탕으로 3D 프린팅 공동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이다. 현재 10여 개 품목의 3D 프린팅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철재 기자 seaja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