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더,오래] 화르르 ‘짚불’ 보단 끈질긴 ‘겻불’ 같은 삶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성희의 어쩌다 꼰대(35)

새해라 해서 딱히 거창한 결심이나 계획을 세우는 시절은 지났다. 그래도 설을 지나면서 뒤늦게 ‘새해에는…’하며 마음을 다잡게 되는 것은 인지상정이렷다. 한데 버킷리스트나 새로 만들어보려니 지난날을 먼저 돌아보게 되는 것 또한 자연스러운 일이다. 이러니저러니 해도 지나온 세월이 앞으로 살아낼 시간보다 기니 말이다.

이때 떠오른 것이 짚불과 겻불이다. 초등학교 1학년부터 서울서 자라 농촌생활을 겪어보지 못했으니 모두 군에서 경험한 것들이다.

가을걷이가 끝난 농촌 들녘에 마늘모종을 심기 위해 볏집 태우는 연기가 피어 오르고 있다. 이름도 나이도 알려주지 않는 노모는 콧물인가 눈물인가를 연신 훌쩍 거리며 볏집을 끌어 모아 태우고 있다. [프리랜서 공정식]

가을걷이가 끝난 농촌 들녘에 마늘모종을 심기 위해 볏집 태우는 연기가 피어 오르고 있다. 이름도 나이도 알려주지 않는 노모는 콧물인가 눈물인가를 연신 훌쩍 거리며 볏집을 끌어 모아 태우고 있다. [프리랜서 공정식]

초겨울 대민봉사를 나갔다가 몸을 녹이려 동료들과 함께 볏짚 더미를 태웠을 때 일이었다. 공교롭게도 모두 도시 출신이어서 옹기종기 모여서 별생각 없이 불을 붙였는데 처음엔 습기 탓인지 불이 잘 붙지 않더니만 오래지 않아 그야말로 순식간에 불길이 커지는 것이었다. ‘어, 어’하는 새 한참 머리 위로 지나가던 군 통신선을 태워 먹을 정도로 불길이 솟았다. 나중에 들으니 볏짚은 공기를 안고 있어 불길이 그야말로 불같이 일어난다고 했다. 그래서 ‘짚불은 쇠도 녹인다’란 말이 있을 정도로 화력이 좋다나.

겻불 역시 대민봉사를 갔다가 경험했다. 비가 추적추적 내려 온기가 그리웠던 우리 분대는 곁에 쌓여 있던 겨 무더기를 태우기로 했다. 한데 이건 불붙이기부터 쉽지 않았다. 막상 불이 붙었어도 불꽃도 일지 않아 몸을 녹이는 데도 그리 소용이 닿지 않았다. 한데 불은 불인 것이 빗속에서도 뭉근히 타들어 가며 끊임없이 모락모락 연기를 피우는 것이었다.

빗줄기 속 불씨 살리는 그런 어른으로…

한 농가의 창고 옆에 쌓인 겨(벼·보리·조 등의 곡식을 찧어 벗겨 낸 껍질) 더미에서 참새들이 남은 곡식을 먹이로 찾고 있다. [프리랜서 공정식]

한 농가의 창고 옆에 쌓인 겨(벼·보리·조 등의 곡식을 찧어 벗겨 낸 껍질) 더미에서 참새들이 남은 곡식을 먹이로 찾고 있다. [프리랜서 공정식]

사람이 사는 것도 비슷하지 싶다. 확 타오르는 것이 자연스럽고,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마땅히 해야 할 일을 물에 물 탄 듯, 술에 술 탄 듯 미적지근하다면 어느 것 하나 제대로 성취할 수 없을 터다. 자기에겐 피해가 없는 일이라고 모두 늘 눈 감는다면 세상은 나아지지 않는다. 미친 듯이 몰두하고, 불같이 분노할 줄 알아야 한다.

그렇긴 하지만 내내 ‘짚불’ 같은 열정을 지닐 수는 없다. 짚불 자체가 오래가지 않는다. 어떤 경우엔 온몸을 불사르며 달려들지 않더라도 은근하되 끈기 있게 매달리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확 분노하지 않더라고 자신을 추스르며 표나지 않게 제 길을 가는 태도도 가치 있다. 호시우행(虎視牛行), 예리한 통찰력으로 범처럼 꿰뚫어 보면서 소처럼 성실하고 신중하게 행동함을 높이 치는 옛말도 있지 않은가.

‘겻불’ 같은 삶을 살았으면 싶다. 욕심 버리고 가진 것에 만족하며 나를 비우되 어지간한 빗줄기 속에서도 불씨를 지켜나가는 그런 ‘어른’으로.

김성희 북 칼럼니스트 jaejae99@hanmail.net

비트코인의 탄생과 정체를 파헤치는 세계 최초의 소설. 금~일 주말동안 매일 1회분 중앙일보 더,오래에서 연재합니다. 웹소설 비트코인 사이트 (http:www.joongang.co.kr/issueSeries/1020)

비트코인의 탄생과 정체를 파헤치는 세계 최초의 소설. 금~일 주말동안 매일 1회분 중앙일보 더,오래에서 연재합니다. 웹소설 비트코인 사이트 (http:www.joongang.co.kr/issueSeries/1020)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