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울릉군 안용복길 3' 독도 주민 김성도씨 집 첫 리모델링

중앙일보

입력

리모델링이 예정된 독도 숙소건물. 김성도씨 부부가 이 건물 3층에 살고 있다. [사진 울릉군]

리모델링이 예정된 독도 숙소건물. 김성도씨 부부가 이 건물 3층에 살고 있다. [사진 울릉군]

경북 울릉군 안용복길 3. 1991년 독도로 주민등록전입 신고를 한 김성도씨 부부가 사는 독도의 집 주소다. 김씨 부부의 집은 어민 긴급대피소로 쓰이는 4층짜리 주민 숙소 건물(연면적 118.92㎡)이다. 해양수산부 소유의 이 건물 3층이 김씨 부부의 집. 1층은 발전기와 창고, 2층은 독도관리사무소 직원 숙소 및 사무실, 4층은 바닷물을 정수하는 담수화 시설이 설치돼 있다. 전기는 자체 발전기를 돌려 생산해 쓰고, 물은 담수해서 쓴다.

오는 3월 착공 예정, 15억원 들여 #경북도 "리모델링 설계 이미 마쳐"

리모델링이 예정된 독도 숙소건물. 김성도씨 부부가 이 건물 3층에 살고 있다. [사진 울릉군]

리모델링이 예정된 독도 숙소건물. 김성도씨 부부가 이 건물 3층에 살고 있다. [사진 울릉군]

경북도는 오는 3월쯤 15억원을 들여 김씨 부부가 사는 이 주민 숙소 건물을 처음 리모델링한다. 경북도 관계자는 15일 "낡은 건물을 뜯어고친다는 의미도 있지만, 독도의 실효적 지배를 위한 '표시 내기' 사업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착공이 3월쯤으로 정해진 이유는 높은 파도와 추운 날씨로 겨울철 공사 인력의 독도 상륙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2010년 11월부터 발급 중인 독도명예주민증 [사진 독도관리사무소]

2010년 11월부터 발급 중인 독도명예주민증 [사진 독도관리사무소]

2011년 30억원을 들여 지은 숙소 건물(벽돌·콘크리트 구조물 등)은 염분 피해로 건물 외벽 탈락, 건물 철근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 낙석 위험을 대비한 방지망 보수 작업도 필요한 상태다. 건물로 유입된 해수 때문에 비상 발전기와 해수 담수화 설비 부식이 빠르게 진행 중이다. 바다와 바로 인접해 있어 건물이 빨리 낡고 파손되는 것이다.

독도 1호 사업자인 김성도씨는 지난 2013년부터 부인과 함께 독도 선착장에 기념품 판매대를 설치해 독도 기념품과 직접 채취한 해산물 등을 판매 중이다. 이에 매년 "우리 땅에서 당당하게 돈을 벌어 납세의 의무를 다해야 한다"며 세금을 내고 있다. 경북도는 올해 김씨 부부의 기념품을 단체 구입하는 식으로 김씨의 장사를 돕는 방안을 찾고 있다.

독도. [중앙포토]

독도. [중앙포토]

독도가 우리 땅인 사실에 대한 표시 내기 사업은 더 있다. 사단법인 독도사랑운동본부는 이달 초부터 독도방파제 건설을 위한 디지털(dosarang.org)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한해 20만명 이상 찾는 독도에는 방파제가 없다. 여객선 접안이 365일 중 140일 정도만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독도 코앞까지 가서 선회만 하고 울릉도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 정부도 필요성을 알고 지난 2012년 독도방파제 설계를 끝냈다. 하지만 지금까지 차일피일 착공은 미뤄지고 있다는게 독도사랑운동본부의 설명이다.

독도사랑운동본부는 국민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서명 운동과 함께 경북도의 협조를 얻어 궐기대회 등 다양한 행사를 벌인다. 또 안전, 대피, 구급 시설물이 들어있는 독도입도지원시설 확충을 위한 기금 모금에도 나선다.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인식이 퍼지면서 독도명예주민증을 발급한 내·외국인이 지난해 말 3만6000명을 넘어섰다. 독도명예주민증은 2010년 11월부터 독도관리사무소가 독도에 상륙했거나 배를 타고 독도를 한차례 이상 선회한 방문객 중 신청자를 대상으로 발급하는 일종의 독도 기념품이다.

독도명예주민증은 주민등록증처럼 생겼다. 가로 8.5㎝ 세로 5.4㎝ 크기로 울릉군수 직인이 찍혀 있다. '울릉도 독도천연보호구역 관리 조례 제11조에 의거 발급됩니다'란 문구와 태극기, 독도 사진이 들어가 있다. 사진이나 독도 여객선 승선권을 독도관리사무소에 증빙하고 인터넷 등을 이용해 발급 신청하면 된다. 무료다.

한편 경상북도 출연기관인 (재)독도재단이 이달 초 설립 9년 만에 대구에서 경북 포항시 북구로 사무실을 옮겼다. 독도수호 활동의 '허브'로 거듭나기 위해 독도와 인접한 포항으로 기관 자체를 아예 이전한 것이다.

안동=김윤호 기자 youknow@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