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순자산 국민 평균보다 12.4배 많아"

중앙일보

입력

금융위원회 소속 고위관료의 순자산(자산-부채)이 36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민 평균보다 12.4배 더 많다.

29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올해 3월(2016년 말 기준·박근혜 정부)과 8∼9월(문재인 정부) 공개한 청와대와 경제부처 재산공개 대상자는 101명이었다. 보통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의 재산공개는 임명 3개월 뒤에 이뤄지기 때문에 문재인 정부 고위관료 자료는 6월 임명자까지가 최신 자료다.

부처별로 보면 청와대가 75명, 기획재정부 12명, 국토교통부 7명, 금융위원회 5명, 국세청 2명 등이었다.

이들 부처 중 눈에 띄는 부처는 금융위였다. 금융위 고위관료의 평균 자산은 39억3580만원, 부채는 2억7409만원이었다. 자산과 부채의 차이인 순자산은 36억6171만원이었다.

이는 국민 평균과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난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우리나라 가계의 평균 자산과 부채는 3억6187만원과 6655만원이었고, 순자산은 2억9533만원이었다.

국민 평균과 견주어 보면 금융위 고위관료의 자산은 10.9배, 부채는 4.1배 많았다. 부채보다 자산 배율이 높으므로 순자산은 12.4배나 많았다.

모두발언하는 김학균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뉴스1]

모두발언하는 김학균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뉴스1]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위 고위 관료들의 자산이 유달리 많은 배경에 대해 지난 8월 말 임기를 마치고 퇴임한 민간 출신 김학균 전 상임위원을 들었다. 이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민간출신 한 분의 재산이 89억원이나 돼 전체적으로 많아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채혜선 기자 chae.hyes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