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남성 절반 비만…20대 여성 100명 중 16명 저체중

중앙일보

입력

복부비만

복부비만

30대 남성의 47%가 비만, 20대 여성의 16%가 저체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30대를 기점으로 비만율이 감소했지만 여성은 나이가 들수록 증가했다.

지난해 공단 검진 수검자 1454명 분석 #100명 중 36명꼴로 비만 #남성 비만율, 10대 28.5%→30대 47.2% #여성 30대 이후부터 비만율 증가 #“비만 관리 실행 대안 마련해야”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은 2016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인원 약 1454만 명의 체질량지수(BMI)를 분석한 결과는 29일 발표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1454만 명 중 약 518만 명(35.6%)이 BMI가 25㎏/㎡ 이상인 비만 인구였다. 인구 100명 중 36명꼴이다.

남성은 40대 이후로 비만율이 줄고 여성은 증가세를 보였다.

남성은 40대 이후로 비만율이 줄고 여성은 증가세를 보였다.

연도별로 보면 2014년의 경우 전체 건강검진을 받은 인원 중 33.4%가 비만이며 2015년 34.8%, 2016년 35.6%로 계속 증가했다.

비만 양상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났다. 남성의 경우 10대의 비만 인구가 28.5%에 불과했다. 하지만 20대 36.7%, 30대 47.2%로 크게 늘었다. 30대 남성의 절반 가까이가 비만인 셈이다. 40대 이후부터는 비만율이 감소세로 돌아섰다. 40대 46.2%, 50대 42.2%, 60대 39.3%, 70대 이상 32.1%였다. 여성은 반대로 나이가 들수록 비만해졌다. 비만율이 19세 이하에서 19.1%였다가 20대에 12.9%로 확 줄었다. 그러다 30대 17.1%, 40대 23.5%, 50대 30%, 60대 38.7%, 70대 이상 39.4%로 비만율이 늘었다.

10~20대 여성 중에 저체중으로 고민인 사람이 많다. [중앙포토]

10~20대 여성 중에 저체중으로 고민인 사람이 많다. [중앙포토]

젊은 여성 중에는 저체중(BMI 18.5㎏/㎡ 미만)이 많았다. 2016년 기준으로 전체 여성인원 중 저체중 비율이 5.4%였다. 연령대로 보면 10대 12.7%, 20대 15.8%, 30대 10.8%가 저체중이었다. 기동민 의원은 “외모지상주의와 마른 몸을 지향하는 사회 트렌드가 젊은 여성의 저체중을 촉발한다”고 설명했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 비만을 고혈압·흡연·고혈당·육체적 비활동과 함께 5대 사망위험 요인으로 꼽는다. 선진국에서는 햄버거 섭취와 나트륨을 규제하거나 공공체육시설과 여가시설을 적극적으로 조성해 비만 관리에 힘쓰고 있다. 기동민 의원은 “비만을 관리하면 다양한 질병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며 “국민이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적극적인 정책과 실행 대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선영 기자 kim.sunye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