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희 “핵무기 협상 없다” 반복…모스크바 남북 접촉 무산

중앙일보

입력

비확산 회의 발표하는 최선희 북 외무성 국장  (모스크바=연합뉴스) 유철종 특파원 =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북아메리카 국장이 20일(현지시간) 외무성 산하 &#39;미국연구소&#39; 소장 직함으로 러시아 모스크바 비확산회의 &#39;동북아 안보&#39; 세션에서 발표하고 있다. 2017.10.20.   cjyou@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비확산 회의 발표하는 최선희 북 외무성 국장 (모스크바=연합뉴스) 유철종 특파원 =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북아메리카 국장이 20일(현지시간) 외무성 산하 &#39;미국연구소&#39; 소장 직함으로 러시아 모스크바 비확산회의 &#39;동북아 안보&#39; 세션에서 발표하고 있다. 2017.10.20. cjyou@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러시아에서 열린 ‘2017 모스크바 비확산회의’를 계기로 남북 당국자 간 이른바 ‘트랙1’ 접촉 기회가 마련됐지만, 의미 있는 만남은 성사되지 않은 채 회의가 막을 내렸다.

19~21일 진행된 비확산회의에 북한 측 대표로 참석한 최선희 외무성 북미국장은 두 차례에 걸쳐 세션에 참석, 핵무기 보유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핵은 협상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게 주장의 골자였다.

21일 ‘한반도 긴장 완화’ 세션에서 그는 북핵 6자회담 재개와 관련 “조선(북한)을 압살하고 붕괴시키려 하는 미국과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6자회담은 더는 유효하지 않고 조선은 이제 9·19 공동성명에 매달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의 대북 적대시 정책 때문에 핵을 개발하는 것이라는 취지의 주장을 반복하며 “국가 주권을 수호하는 유일한 길은 핵 보유뿐이고 우리는 이라크, 리비아 등의 전철을 밟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세션에 토론자로 참석한 한국의 신범철 국립외교원 교수가 “한·미는 북한을 공격한 적이 없고, 대북 제재도 북한의 도발 때문에 이뤄진 것”이라고 지적하자 최 국장은 “적대정책이 왜 없느냐. 매일 신문을 보면 아는데 무엇이 더 필요하냐”고 발끈하기도 했다.

최 국장은 회의 기간 중 올렉 부르미스트로프 러시아 외교부 한반도 문제 담당 특임대사와 양자회담을 했다. 부르미스트로프 대사는 기자들과 만나 “언제 최 국장이 다시 러시아를 방문할지 등에 대해 논의했고, 더 만날 계획이지만 아직 구체적인 일정은 잡힌 게 없다”고 말했다.

NHK 등 일본 언론들은 회의에 참석한 가나스기 겐지(金杉憲治)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최 국장과 접촉했다고 보도했다. NHK는 본격적인 접촉은 아니었지만, 가나스기 국장이 회의장에서 최 국장에게 말을 거는 모습이 포착됐다고 전했다. 가나스기 국장은 기자들과 만나 “최 국장에게 몇 번인가 말은 했다. 메시지는 전달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관심을 모았던 남북 및 북·미 간 접촉은 성사되지 않았다. 한국에서는 이상화 외교부 북핵외교기획단장(국장급)이 회의에 참석했다. 최 국장이 회의장에서 이 단장과 마주치기는 했지만 간단한 인사만 건넸을 뿐 별다른 대화를 주고 받지는 않았다고 한다.

관련 사정에 밝은 정부 소식통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지난달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서 ‘북한 완전 파괴’를 언급한 이후 극렬하게 반발하는 북한의 분위기가 그대로 이어지는 것 같았다”고 말했다. 또 “한국과는 접촉을 피하는 느낌이었다. 어느 시점까지는 한국과 대화하지 않는다는 방침이 서 있는 것 같다”며 “그나마 소통이 되는 러시아가 기회를 마련해주니 북한의 입장을 강변하는 장으로 활용한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회의에 미국 측에서는 웬디 셔먼 전 국무부 정무차관, 로버트 칼린 전 국무부 정보조사국 북한정보분석관 등 전직 고위 관료와 지그프리드 헤커 미 스탠퍼드대 국제안보협력센터(CISAC) 선임연구원 등 핵 전문가가 참석했다. 하지만 북·미 간 반관반민(半官半民·1.5트랙) 형식의 대화도 이뤄지지 않았다. 외교가 소식통은 “북한이 대화에 응할 준비가 돼 있지 않은 것 같았다”며 “최 국장은 회의 내내 미국의 적대시정책 때문에 핵을 개발한다는 이야기만 반복했다. 이 때문에 수준 있는 토의도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