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아직도 소련? 보신탕 나라?…가깝고도 잘 모르는 나라 한ㆍ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발레, 보드카, 추운 나라, 인형, 문학….

양국 국민에게 '서로 떠오르는 것' 물었더니 #한국하면 밥,드라마, 무술, 경제발전 꼽아 #러시아는 추운나라, 푸틴, 공산국가, 보드카 #‘가족, 전통, 효도, 근면’ 정서적인 유사성도 #"경제 협력, 북핵 역할에 기대감"도 커 #

여기까지만 꺼내도 떠오르는 나라가 있을 것이다. 한국인들이 ‘러시아 문화’라고 하면 연상하는 상위 다섯 개 단어다.
5일 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소장 강덕수)는 한국리서치, 러시아여론조사센터 프치옴이 공동으로 한국인 1000명과 러시아인 1200명을 상대로 진행한 상호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에 이어 두번째 조사다. 연구소는 오는 6~7일 문재인 대통령의 러시아 극동 블라디보스토크 ‘동방경제포럼’ 참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의 한·러 정상회담을 앞두고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7월 7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독일 함부르크에서 한-러 정상회담 시작 전 악수를 나누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7월 7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독일 함부르크에서 한-러 정상회담 시작 전 악수를 나누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그래픽=고한솔ㆍ엄주현 인턴기자

그래픽=고한솔ㆍ엄주현 인턴기자

그렇다면 러시아인들은 ‘한국 문화’라고 했을 때 무엇을 떠올렸을까.

밥(젓가락·초밥), 종교, 음악, 영화(드라마), 불교, 한국 샐러드, 보신탕, 무술, 그림….

그래픽=고한솔ㆍ엄주현 인턴기자

그래픽=고한솔ㆍ엄주현 인턴기자

‘한류’로 대표되는 음악이나 영화(드라마), 음식을 제외한다면 한국인이 자각하는 ‘한국 문화’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한국인들에게 ‘러시아’라는 단어를 던졌을 때엔 ‘추운 나라, 푸틴, 소련, 공산국가, 보드카’를 연상했다. 상대적으로 오래 전 이미지의 러시아를 떠올린다고 볼 수 있다. 양국이 지리적으로 가까운 나라지만 인식 면에선 아직 ‘먼 나라’로 인식하고 있는 셈이다.

그래픽=고한솔ㆍ엄주현 인턴기자

그래픽=고한솔ㆍ엄주현 인턴기자

양국은 그러나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치관으로 ‘가족, 전통, 효도, 근면’을 상위에 꼽는 정서적인 유사성을 보이기도 했다.

조사를 진행한 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 최우익 교수는 “러시아인들이 갖고 있는 정서가 서양과 동양의 중간 정도 되고, 소수민족으로 아시아계통도 많이 살고 있기에 우리와 비슷한 면이 많다”며 “가치관 뿐 아니라 전통 음악의 리듬도 낯설지가 않고, 문화적인 면에서도 유사한 점이 꽤 있다”고 설명했다.

공통의 정서가 있는데도 서로에 대한 인식 등이 부족한 현상황을 어떻게 발전시킬 수 있을까. 러시아인들에게 문화에 국한하지 않고 ‘한국’이라는 키워드를 던졌을 때 연상되는 단어들에서 단서를 찾을 수 있었다고 연구소는 분석했다. 산업 기술 발전, 한국 문화, 한국인의 외모, 러시아와의 통상관계, 높은 생활 수준, 미국과의 관계, 근로 문화 등이다.

그래픽=고한솔ㆍ엄주현 인턴기자

그래픽=고한솔ㆍ엄주현 인턴기자

최 교수는 “소련과 러시아 시대는 완전히 다르고, 러시아도 시장경제로 민주적 틀을 갖추고 있는데 한국인들이 아직 잘 모르고 있다. 특히 나이드신 분들이 그렇다”며 “반면 러시아에서 볼 때 한국은 극동의 작은 나라지만 굉장히 경제적으로 선진적인 나라라는 인식을 갖고 있고, 경제 협력을 바라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여론조사에선 북한의 핵위기가 고조됨에 따라 한반도 문제에서 러시아와의 역할에 대한 기대감도 드러났다.

두 나라가 정치·경제적으로 긴밀하게 협력하는 전략적 동반자이거나 그렇게 될 수 있다고 보는 비율은 한국인은 73.6%, 러시아인은 63%다. 양국이 협력할 수 있는 분야로 한국인은 산업과 에너지(58.1%), 정치와 외교(33.1%), 군사기술(22.1%)을 가장 많이 꼽았다. 러시아인은 한국의 첨단기술(32%), 무역(31%), 의료(31%)를 대표적인 협력 분야로 들었다. 한·러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한국인은 61%, 러시아인은 85%에 달했다. 러시아의 극동개발에 한국이 참여하는 것에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한국인의 비율도 78%였다. 문재인 정부의 ‘신북방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양국의 관계 발전에서 가장 장애로 여기는 분야로 양국민 모두 ‘국제정치 상황(한국 51.5%, 러시아 35%)’을 가장 많이 꼽았다. 한국인의 41%는 남북 분쟁이 생기면 러시아가 북한 손을 들어줄 것이라고 봤다. 반면 러시아 응답자의 10%만 그럴 것이라고 여긴 데 비해 51%는 분쟁 해결을 위해 중재자 역할로 나설 것이라고 답했다.

박유미 기자 yumip@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