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봉준호, 신인감독을 만나다-3] 감독의 일이란 과연 무엇인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매거진M] 영화의 대중성과 완성도는 물론,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봉준호(48)는 현재 한국영화계를 대표하기로 첫손에 꼽히는 인물이다. 독특한 데뷔작 ‘플란다스의 개’(2000)를 시작으로, 서양의 장르를 한국 사회의 배경 위에 풀어냈을 때 얼마나 새롭고 구성지며 재미있는 풍경이 펼쳐지는지 보여 줬던 ‘살인의 추억’(2003) ‘괴물’(2006) ‘마더’(2009), 해외 프로젝트 ‘설국열차’(2013), 전 세계 온라인 스트리밍 기업 넷플릭스와 손잡고 만든 ‘옥자’(6월 29일 극장·넷플릭스 동시 공개)에 이르기까지. 그의 행보는 한국영화의 독창성과 가능성, 그리고 새로운 도전의 선봉 노릇을 해 왔다. 그것이 한국의 무수한 젊은 감독들에게 짜릿한 자극과 영감이 돼 왔음은 물론이다. 명실상부, 봉준호는 수많은 한국 감독들이 바라 마지않는 선망의 이름이다.

봉준호, 한국영화의 무서운 신인들 권오광·윤가은·이현주·홍석재 감독을 만나다

그래서 magazine M이 마련했다. 최근 개성 넘치는 첫 영화로 주목받은 신인 감독들과 봉 감독의 만남을. 서로의 영화에 대한 호기심부터, 감독으로서 영화를 만드는 순간순간 마주하는 희열과 당혹에 대한 공감까지. 한국영화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아우르는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터져 나왔다.

(왼쪽부터) 권오광, 이현주, 봉준호, 윤가은, 홍석재 감독 / 사진=라희찬(STUDIO 706)

(왼쪽부터) 권오광, 이현주, 봉준호, 윤가은, 홍석재 감독 / 사진=라희찬(STUDIO 706)

권오광 감독(이하 권) “봉 감독님 영화는 스토리보드 구해 보는 맛이 있잖아요. 영화가 늘 그 공간을 제대로 활용하는 프레임과 동선을 보여 주는데, 그게 스토리보드부터 완벽하게 설계돼 있어요. 이번에도 스토리보드 작업을 철저하게 하셨겠네요.”

봉준호 감독(이하 봉) “VFX가 강조되는 영화는 그렇게 할 수밖에 없지.”

“할리우드에서도 스토리보드를 완벽하게 만들고, 그에 따라 영화를 찍는 식인가요?”

“한국영화계에서는 스토리보드를 많이 만들잖아. 현장 편집도 하고. ‘설국열차’ 때 미국 스태프들이 그걸 보고 엄청 놀라더라고. 특히 현장 편집하는 거 보고는 놀라움을 금치 못하더라. 선 하나 더 깔아서 노트북만 연결하면 되는 건데(웃음). 그러다 일주일만 지나면 맛 들여서 배우들도 자꾸 전에 찍은 거 보여 달라고 하고, 촬영장에 친구 오면 현장 편집 모니터 앞에 데려와서 ‘이것 봐, 이것 봐’ 하더라고(웃음). 할리우드에서는 그렇게 잘 안 해. 특히 예산이 큰 영화일수록 같은 장면을 여러 각도와 프레임으로 많이 찍어 놓지. 그래야 영화사나 프로듀서가 편집할 때 간섭할 수 있으니까. 스토리보드 하면, 앨프레드 히치콕(1899~1980) 감독이 유명하잖아. 스토리보드 자체가 정말 아름답고, 꼭 그대로 영화를 찍는 감독이었지. ‘영화사 놈들이 내 영화에 손대지 못하게 해 주마’ 하는 식으로. ‘설국열차’ 찍을 때 길리엄 역으로 출연했던 존 허트(1940~2017) 할아버지가 나한테 ‘당신도 ’히치코키언‘(Hitchcockian, 히치콕스러운 사람)이군’이라고 하시더라고. ‘배우들은 같은 연기를 두 번 안 해도 되니까 너무 좋다’고 하시면서. 어떤 배우들은 할리우드 방식에 익숙해져 있어서 ‘더 안 찍어도 되냐’고 하면서 불안해하기도 해요.”

사진=라희찬(STUDIO 706)

사진=라희찬(STUDIO 706)

“요새는 한국에서도 신인 감독의 영화라고 하면 영화사나 배급사가 할리우드처럼 같은 장면을 여러 각도와 프레임에서 찍기를 요구하기도 해요. 촬영 중반에 현장 편집본 보내 달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고 들었어요.”

“우리나라 투자사들도 할리우드 흉내를 내는구나. 내가 신인이었을 때는 그런 게 없었어. 요즘 젊은 감독들은 정말 고생스럽겠다.”

“그래서 봉 감독님 영화 볼 때마다 ‘나도 저렇게 찍고 싶은데, 그러려면 영화사를 어떻게 설득해야 할까’ 이런 고민 많이 해요.”

“감독의 일이라는 게 뭐야. 샷을 설계하는 거잖아. 내가 짠 프레임과 카메라 움직임, 난 그건 절대 양보 못 해.”

홍석재 감독(이하 홍) “그런데 간혹 카메라 동선을 짜 놨는데, 배우 분들이 ‘이렇게는 연기가 안 된다’면서 그대로 못 하겠다고 할 때가 있잖아요.”

'살인의 추억' 스틸

'살인의 추억' 스틸

“물론 그럴 때는 상의해서 조정하지. 그런 배우들 마음을, 영화를 찍다 보니 조금씩 알겠더라고. ‘플란다스의 개’나 ‘살인의 추억’ 때만 해도 그런 개념이 별로 없었어. ‘살인의 추억’에서 논밭에서 사체가 발견돼서 형사들이랑 사람들이 막 뒤엉키는 장면 있잖아. 그거 스테디 캠으로 하루 종일 찍은 거거든. 오전에 연습하고, 오후에 한 열두 테이크 찍어서 끝냈을 거야. 경운기가 지나가면서 발자국을 지우고, 감식반 사람이 논두렁에서 미끄러지고 하는 동선은 스토리보드에 설계한 대로인데, 촬영하면서 보니까 구 반장(변희봉) 동선은 자세히 설계를 안 해 놨더라고(웃음). 사실 감독이 그 모든 걸 다 고민해야 하는데, 촬영장 나가면 늘 놓치는 부분이 생기잖아. 배우들은 그런 것에 얼마나 예민해. 그런데 ‘살인의 추억’의 그 장면을 찍을 때는 테이크가 거듭될수록 변희봉 선생님이 스스로의 동선을 만들면서 프레임 안으로 점점 들어오시더라고(웃음). 그럴 땐 고맙지. ‘마더’에서 도준 엄마가 도준이 벽에 소변보는데 한약을 가져다주면서 도준의 아랫도리를 쳐다보는 장면 있잖아. 김혜자 선생님이 자꾸 그걸 못 하시겠다고 하면서, ‘장성한 아들 거기를 어떻게 쳐다보느냐, 싫다’고 그러시는 거야. 그래서 내가 거짓말로 ‘선생님. 이건 거기를 보는 게 아니라 소변 색깔 보는 겁니다’라고 했어. 그랬더니 선생님이 ‘맞다! 맞다! 이 여자가 약재상 하니까 아들 똥 색도 볼 것 같아!’ 하면서 원빈의 거기를 편하게 보시는 거야(일동 웃음). 그걸 보면서 ‘내가 저 얘기를 왜 진작 못 해드렸을까’ 생각했어. 내가 원하는 장면·구도·움직임만 생각하느라고 배우들이 그 안에서 어떻게 부대끼고 있는지 생각을 못 했던 거지. 이제는 내가 배우들한테 그런 이야기를 둘러댈 줄 아는 임기응변이 좀 는 것 같기는 해요.”

이현주 감독(이하 이) “‘마더’ 메이킹 영상을 보니까 김혜자 선생님하고 열 테이크 이상 가는데, 선생님이 하나도 안 힘든 것처럼 연기를 하시더라고요. ‘봉 감독, 이거 괜찮아? 한 번 더 갈까?’ 이러시면서. 어떻게 그렇게 경력이 많은 배우 분하고 그렇게 편안한 분위기로 여러 테이크를 가실 수 있는 거예요?”

“그랬나? 나도 테이크 수가 점점 줄어드는 것 같아요. ‘살인의 추억’ 때는 한 장면의 테이크를 10~15번씩 가니까 다들 지쳐하는 느낌이 있었어. ‘마더’ 때 많이 줄어서 평균 테이크 수가 5~8번이었던 것 같아. 이 감독이 말한 건 예외적인 경우였고. ‘옥자’는 대부분 3~6번 사이. 특히 더울 때는 정신이 혼미해지면서(웃음). 그래서 예정한 대로 77회차에 마칠 수 있었지.”

'마더' 스틸

'마더' 스틸

윤가은 감독(이하 윤) “저도 ‘우리들’ 찍으면서 테이크를 40번까지 간 적 있어요. 그쯤 되니까 배우들, 스태프들 다 지쳐 하는데, 조금만 더 하면 나올 것 같고. 저도 올바른 디렉션을 한 번에 줄 수 있으면 좋겠는데, 저한테도 그걸 찾아가는 과정이 있더라고요. 그때 제가 그런 얘기했거든요. ‘봉준호 감독님도 김혜자 선생님이랑 테이크를 그렇게 많이 가더라!’(일동 웃음)”

“하하. 사실 매 순간이 다큐멘터리인데, 해 봐야 아는 거지.”

“스토리보드대로 찍으시니까 편집도 훨씬 수월하게 하시겠네요.”

“편집기사 입장에서는 선택의 폭이 이미 좁혀 있는 셈이지. 감독들이 항상 이중적인 마음에 시달리잖아. 모두가 자기가 원하는 대로 일사분란하게 해 주길 바라는 동시에, 엄청나게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 주길 바라는 욕심이 있지(웃음). 난 사실 편집할 때가 정말 싫어. 촬영분을 가지고 마음껏 조몰락거릴 수 있다는 데서 오는 이상한 불안이 있어. 촬영할 때는 사실 어떤 제약이 있잖아. 낮 촬영이면, 해 지면 철수해야 하는 것처럼. 그런데 편집할 때는 그런 게 없어서 싫어. 왠지 저녁 먹고 와서 두 시간 더해야 할 것 같고, 삼 주 정도 더 하면 엄청난 발견을 할 것 같고. 그 마음을 객관적으로 차단시키기가 쉽지 않더라고. 상태가 안 좋은 건가(웃음).”

“저도 그래요.”

“전 편집 단계를 제일 좋아해요.”

“저도요.”

“스탠리 튜브릭 감독도 편집을 제일 좋아했어.”

“그때는 저밖에 없잖아요(웃음).”

“편집할 때가 되면 선택의 여지가 많지 않잖아요. 그래서 괴로움이 덜한 것 같아요. 주어진 것 안에서 이 숙제를 어떻게 하면 잘할 수 있을까 고민하면 되니까.”

“‘연애담’은 제가 편집했으니까 촬영할 때 내가 실수하고 잘못한 걸 나 혼자 깨닫고 반성하면 됐거든요. 다음 영화부터는 그게 다른 사람 앞에 고스란히 탄로 날 텐데 내가 별거 아닌 것처럼 보일까 봐 걱정이에요.”

“촬영장에서 잔뜩 신경을 곤두세웠던 문제가 편집할 때 보면 ‘뭐야, 아무 상관없었잖아’ 이렇게 느껴질 때가 많아. 그게 우리를 현혹시키는 거야. ‘곡성’이야, 곡성. 그럴 때마다 ‘뭣이 중헌디’를 스스로에게 질문해야 해(웃음). 다들 두 번째 영화 시나리오는 잘 쓰고 있어요? 난 ‘플란다스의 개’ 찍고 나서 ‘살인의 추억’ 준비할 때 오히려 마음이 편했어. ‘플란다스의 개’ 만들 때는 내 마음이 뭔가 굴절돼 있었다고 할까. 내가 만들었던 단편의 색깔을 계속 가져가야 한다는 강박 같은 게 있었어. 그런데 함께하는 제작사 우노필름은 되게 큰 회사야. 영화를 개봉하고 보니 흥행도 못하고, 평단에서 찬사를 받지도 않았어. 그 상태에서 두 번째 영화를 준비하다 보니 마음이 간결해지더라고. 어찌하다 보니 감독이 됐는데, 앞으로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영화를 계속 만들 거잖아. ‘이게 내 직업이야’라고 생각하니까 편해지더라고. 첫 번째 영화가 망하니까 중압감 같은 것도 없고, 두 번째 영화를 찍을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좋고. 여러분들은 첫 장편으로 다들 각광받았으니 나랑은 다르겠지?”

봉준호 감독 / 사진=라희찬(STUDIO 706)

봉준호 감독 / 사진=라희찬(STUDIO 706)

“저도 다음 영화 시나리오는 썼는데, 워낙 많이 고치는 편이라.”

“저도 열심히 쓰고 있습니다.”

“전 지금 감독님이 ‘플란다스의 개’ 하실 때와 비슷한 마음인 것 같아요.”

“마음이 간결해지지 않는구나. 힘들겠다.”

“네. 왔다 갔다 해요.”

“저도 ‘돌연변이’ 개봉하고 나서 반년 동안 아무것도 못 했어요. 내가 해내지 못한 것, 잘못한 것, 실수한 것만 생각나더라고요. 아무 생각도 안 나고, 책도 안 읽히고, 영화도 못 보겠고. 그러다 다음 영화 제안이 들어와서 시나리오를 쓰게 됐는데, 그렇게 또 반년을 보내고 나니까 ‘그래, ‘돌연변이’가 내 전부는 아니잖아’란 생각이 들더라고요.”

“좋네. 지금의 정신 상태가 좋은 거야. 그 상태로 가면 좋을 거야(웃음). 시나리오 쓰느라 다들 바쁠 텐데 이렇게 모여 줘서 고마워요. 우리 조만간 맛있는 거 먹자. 내가 날짜 잡을게!”

장성란·김효은 기자 hairpin@joongang.co.kr 사진=라희찬(STUDIO 706)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