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젤차 사도 될까? 점유율 하락에 유럽서도 ‘찬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나는 2020년에 파리에서 디젤이 완전히 사라지길 원한다.” 안 이달고 프랑스 파리 시장이 3년 전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디젤의 시대가 저물고 있다. 지난달 국내에 등록된 수입차 중 디젤차 점유율이 50% 밑으로 추락했다. 올해만 1~2월에 이어 세 번째다. 지난해에는 열두 달 중 10월 단 한 번(49.5%) 있었던 일이다.

전체 수입차 중 디젤차 점유율 지난달 50% 붕괴 #올해만 3번째 절반이하 점유율…지난해에는 한번 #유럽 도시들도 '디젤차 퇴출', 본고장 독일서도 하락세

디젤차는 가솔린차 대비 뛰어난 연비와 싼 연료 가격 등을 앞세워 최근 10년 동안 국내에서 급격하게 성장했다. 정부가 세단을 포함한 모든 디젤차의 판매를 전면 허용했던 2005년, 전체 등록 수입차 중 디젤차의 점유율은 한 자릿수에 불과했다. 하지만. 2007년 16.4%, 2010년엔 25.4%까지 성장했다. 2012년에는 50.9%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가솔린차를 앞질렀다. 2015년에는 ‘클린 디젤’을 앞세운 수입차 업체들의 선전으로 점유율 68.8%를 기록하며, 디젤차 시대의 정점을 찍었다.

수입차 연료별 등록통계

수입차 연료별 등록통계

그러나 영광 뒤엔 고난이 기다리고 있었다. 같은 해 자동차 산업 역사상 가장 큰 오점 중 하나로 기록된 ‘폴크스바겐 디젤게이트’ 사건이 터졌다.  2003년 2.2%에서 12년간 68.8%까지 오른 점유율은 처음으로 하락세로 돌아서 지난해 58.7%가 됐다. 여전히 절반 이상은 유지했지만, 올해는 상황이 더 악화했다. 지난달 가솔린차 등록 대수는 전달보다 2756대 더 늘었지만, 디젤차는 1014대만 늘었다. 상반기 전체로 보면 50.1%를 겨우 유지하고 있지만, 올해 말엔 50% 선이 붕괴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 하이브리드차는 지난달 처음으로 점유율 10%를 넘겼다. 자동차 업체 관계자는 “당장의 판매 저조보다 더 큰 문제는 사람들이 다시 디젤차를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생각하기 시작했다는 점”이라며 “클린 디젤은 더티 디젤이 됐고, 자동차 업계 전부가 거짓말로 디젤차를 팔아왔다는 오해를 사게됐다”고 말했다.

국내만 그런 것도 아니다. 디젤차 전성기를 이끈 자동차 업체들의 본고장인 유럽에서도 디젤차는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파리ㆍ마드리드ㆍ아테네ㆍ멕시코시티 등 4개 도시는 2025년까지 디젤차를 퇴출하기로 했다. 특히 폴크스바겐ㆍBMWㆍ메르세데스-벤츠 등 디젤차 명가를 낳은 독일에선 지방정부들이 잇따라 디젤차 운행 금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벤츠의 고향인 슈투트가르트도 내년부터 ‘유로 6’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디젤 차량의 도시 내 운행을 금지한다.

디젤차의 시대는 저물까. [일러스트=심수휘]

디젤차의 시대는 저물까. [일러스트=심수휘]

자동차 업체들은 “정상적인 디젤엔진의 경우 가솔린 엔진에 비해 이산화탄소를 15% 적게 배출하기 때문에 장기적 관점에서 디젤 차가 배출가스 문제 해결에 더 효과적”이라는 주장을 내세우고 있지만, 큰 효과를 거두긴 힘들어 보인다. 독일의 지난달 자동차 판매량을 보면 디젤차는 전년 동기대비 9% 줄었지만 가솔린차는 12% 늘었다. 미국 투자은행 JP모건은 현재 50% 수준인 유럽의 디젤차 점유율이 2020년 30%까지 떨어질 것이란 예측도 내놨다.

최근 경유세 인상을 둘러싼 논란도 일었다. 지난달 25일 서울의 한 주유소. [연합뉴스]

최근 경유세 인상을 둘러싼 논란도 일었다. 지난달 25일 서울의 한 주유소. [연합뉴스]

대세를 거스르기 힘들다고 판단한 몇몇 자동차 업체는 디젤차의 대안으로 꼽히는 친환경차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스웨덴 자동차 업체 볼보는 지난 5일 “2019년부터 새로 출시하는 차는 모두 전기모터를 탑재할 것이며, 디젤과 가솔린과 같은 순수 내연 기관 엔진을 탑재한 모델은 기존 모델만 판매하고 새 모델은 출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디젤차 구입을 고려 중인 소비자들의 고민은 깊어질 수밖에 없다. 자칫 대세를 거스르고 환경오염에 동조하는 사람으로 보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과 교수는 “디젤차의 몰락이 얼마나 빠르게 진행될지는 알수 없지만, 상황이 나빠지고 있는 것은 확실하다. 디젤차를 만드는 업체도, 사는 사람도 주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윤정민 기자 yunj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