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남관표 합류 … 문재인 외교안보 라인 ‘자주파’가 전면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에 남관표(60) 주스웨덴 한국대사를 임명했다. 지난 5일 김기정 연세대 행정대학원장의 중도하차로 비어 있던 자리다.

남, 노무현 정부 때 자주외교 중시 #문재인의 민정수석실에 근무 인연 #서훈·이상철·서주석도 대북대화론 #“미국이 대북관계 신호로 읽을 수도”

부산 출신으로 경기고, 서울대 법대를 나온 남 차장은 노무현 정부 당시 외교통상부 내에서 대미 자주 외교노선을 강조해 온 이른바 ‘자주파’로 분류된다. 남 차장은 노 정부 초기 외교통상부 조약국(현 국제법률국) 심의관이었다. 노 대통령 당시 청와대와 외교부는 ‘자주파’와 한·미 동맹을 우선시하는 ‘동맹파’로 나뉘었다. 한·미 FTA 체결, 이라크 파병, 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및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등 각종 현안에서 갈등이 첨예했다. 외교부 조약국 내엔 자주파가, 북미국엔 동맹파가 많았다.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폄훼 투서 사건은 상징적 사건이다. 한 외교통상부 북미국 간부가 직원들과 식사하는 자리에서 청와대 내 386 인사들의 대미 외교 정책을 “반미적”이라고 발언한 것을 당시 북미3과 직원이 청와대 민정수석실에 투서하면서 불거졌다. 해당 공무원은 민정수석실의 강도 높은 조사 후 보직 해임됐고, 여파로 윤영관 외교통상부 장관까지 사퇴했다. 당시 남 차장은 자주파 입장에서 민정수서실의 조사를 받았고, 그해 남 차장은 외교 관료로는 드물게 청와대 민정수석실로 파견됐다. 당시 민정수석이 문재인 대통령이었다.

이후 남 차장은 외교통상부 정책기획국장, 국무총리실 규제개혁조정관, 주헝가리 대사를 거쳐 최근까지 주스웨덴 대사로 근무했다.

문재인 정부 초기 외교안보 라인은 남북대화와 (대미) 자주외교를 강조하는 ‘자주파’가 큰 줄기를 형성하는 모양새다. 임성남 외교부 1차관을 제외하면 북핵과 4강 외교 전문가보다는 다자외교를 담당했던 이들이 주다. 이전 정부에서 국가안보실장을 군인 출신으로 임명했던 것과 달리 문 대통령은 통상 전문가인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을 기용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유엔 출신이다. 이상철 청와대 안보실 1차장은 국방부 남북 군사실무회담 수석대표와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 대표 등 대북 실무회담에 참여한 이력이 있다. 문 대통령이 지난달 10일 취임하면서 임명한 서훈 국정원장도 대북 대화론자다. 노무현 정부에서 통일외교안보 수석을 지낸 서주석 국방부 차관 역시 당시 자주파의 중심,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 라인이다.

문 대통령이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와 관련해 환경영향평가를 다시 받게 하거나, 사드 발사대 추가 반입에 대한 보고 누락을 재조사시킨 것 등이 자주파 라인의 포진에 따른 변화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외교가 일각에선 미국이 자주파 중심의 인선 자체를 대미·대북 관계의 상징적인 신호로 읽을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문미옥과학기술보좌관

문미옥과학기술보좌관

◆과학기술보좌관에 문미옥=문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 과학기술보좌관으로 문미옥(49)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를 임명했다. 포항공대 물리학과 출신의 문 보좌관은 문 대통령이 지난해 1월 총선을 앞두고 민주당으로 영입했다.

문 보좌관의 비례대표 국회의원 직은 이수혁 전 6자회담 수석대표가 승계한다. 청와대 경제수석 산하 중소기업비서관에는 임원혁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가 유력하다고 한다. 임 교수는 김대중 정부에서 국가정보원장과 통일부 장관을 지낸 임동원 전 장관의 장남으로, 미국 스탠퍼드대 경제학 박사 출신이다.

위문희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