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 묻힌 미국인의 묘에서 100년도 넘은 십자가가 발견된 사연

중앙일보

입력

인천시가 지난해 10월부터 인천 연수구 청학동에 위치한 외국인 묘 66기를 인천가족공원으로 이장하는 작업이 한창이던 지난달 초. 한 미국인의 묘에서 성인 손가락만 한 크기의 작은 십자가가 발견됐다.

랜디스의 유품인 십자가(뒷면). 라틴어로 ‘The MISERICORDIA’(미세리코르디아·자비)라고 쓰여 있다.  임명수 기자

랜디스의 유품인 십자가(뒷면). 라틴어로 ‘The MISERICORDIA’(미세리코르디아·자비)라고 쓰여 있다. 임명수 기자

소식을 접한 인천시립박물관 조우성(67) 관장은 한달음에 현장을 찾았다. 십자가를 본 조 관장은 가슴이 벅찼다고 했다. 개항 당시 인천에서 활동한 외국인들의 실물자료가 나오기는 이번이 처음이기 때문이다. 개항 당시 외국인들의 활동상을 엿볼 수 있는 계기가 됐다는 것이다.

외국인 묘 이장 중 '엘리 랜디스' 십자가 #개항 100년 불구 실물자료는 처음 나와 #인천 개항역사 찾기 나선 조우성 관장 #"인천 개항 시기 외국인 생활 재조명 기회"

지난달 29일 기자와 만난 조 관장은 “개항 100년이 넘었음에도 당시 인천에서 활동한 외국인들의 생활상을 담은 자료 하나 없는 게 지금의 현실”이라며 “이 십자가는 단순한 장신구가 아닌 개항 당시 외국인들의 활동상을 연구할 수 있는 물건”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십자가의 주인공은 인천 개항 당시 한국을 찾아 의료봉사를 하다 숨진 미국인 의료 선교사 엘리 랜디스(Eli B.Landis·1865~1898)다.

인천가족공원에 안장된 랜디스의 묘. [사진 인천시립박물관]

인천가족공원에 안장된 랜디스의 묘. [사진 인천시립박물관]

그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랭커스터 출신으로 1890년 인천 제물포에 들어왔다. 이후 주거지 인근에 시약소(施藥所·약국)를 열었다. 인천 최초의 서양병원인 성누가병원이 설립되자 ‘낙선시의원(樂善施醫院)’이라는 이름을 지었다. ‘선행을 베풀어 기쁨을 누리는 병원’이라는 의미다.

 그는 이 병원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의료 활동을 폈다. 야간학교를 운영하며 영어도 가르쳤다. 불교 경전을 번역하기도 했고, 한국학을 연구하기도 했다. 당시 인천지역 주민들은 그를 ‘의료계의 큰 어른’이란 뜻의 ‘약대인(藥大人)’이라 불렀다고 한다.

하지만 그는 한국에 온 지 8년째 되는 해에 지병을 앓다 33세라는 짧은 나이에 생을 마감했다. 조 관장은 랜디스에 대한 짧은 이력을 파악한 뒤 미국 대사관에 십자가와 함께 한 장의 공문을 보냈다.

인천시립박물관 조우성 관장

인천시립박물관 조우성 관장

조 관장은 “묘에서 발견된 소장품은 유족에게 돌려주거나 유족이 없으면 해당 국가의 대사관 소유가 된다”며 “개항 당시의 역사, 외국인들의 활동상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물건이라고 호소해 기증을 받기 위해서였다”고 했다. 미 대사관은 흔쾌히 동의해 줬다고 한다.

조 관장은 “십자가 뒤쪽에 라틴어로 ‘자비’(The MISERICORDIA·미세리코르디아)라는 단어가 적혀있었는데 그가 왜 약대인으로 불렸는지 알겠다”며 “그는 단순히 한국에 왔다 숨진 외국인 선교사가 아닌 인천의 주요 역사적 인물 중 한명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 관장은 평소에도 개항사에 관심이 많았다. 2015년 시립박물관장에 임명된 이후 개항 역사에 대한 연구 추진도 계획했다. 인천 출생에 인천 지역신문 기자 출신인 그에게 인천의 역사, 개항의 역사는 늘 연구 대상이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조 관장은 “2020년 인천뮤지엄파크가 조성되는데 개항 당시의 인물을 기리는 전시관(가칭 개항관)을 만들어 랜디스의 십자가를 전시할 것”이라며 “낯설고 물선 외국 땅에 와 헌신적으로 제물포지역 주민들과 함께 살았던 랜디스를 비롯한 외국인들의 역사를 담은 인천의 개항 역사를 새롭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임명수 기자 lim.myou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