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회고록 “5ㆍ18은 ‘폭동’, 발포명령 없었다”…자위권 행사 주장

중앙일보

입력

전두환 전 대통령(왼쪽)과 이순자 여사. 일러스트=김회룡 기자

전두환 전 대통령(왼쪽)과 이순자 여사. 일러스트=김회룡 기자

전두환 전 대통령은 3일 출간한 『전두환 회고록』(자작나무숲)에서 “5ㆍ18 사태는 ‘폭동’이란 말 이외에는 달리 표현할 말이 없다”고 주장했다. 또 전 전 대통령은 “광주사태 당시 국군에 의한 학살이나 발포명령은 없었다”고 적었다.  


전 전 대통령은 회고록에서 시종일관 ‘5ㆍ18 광주민주화운동’ 대신 ‘광주사태’ 또는 ‘5ㆍ18 사태’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5ㆍ18의 충격이 가시기 전에 대통령이 된 게 원죄가 됨으로써 십자가(제물)를 지게 됐다”고도 주장했다.

“수천 명의 사망자는 #잘못 알려진 것, 단 165명”

특히 5ㆍ18 광주민주화운동이 ‘민주화운동’으로 인정받은 점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견해를 드러냈다. 자신이 5ㆍ18 직후 대통령이 됨으로써 5ㆍ18을 치유하는 희생양이 됐다는 의미다. 3ㆍ1 운동을 예로 들면서 5ㆍ18 광주민주화운동이 ‘폭동’이라고 주장했다.

전 전 대통령은 또 “무엇보다 사람들에게 잘못 알려진 것은 광주사태 당시의 희생자 수”라며 “수천 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고 있지만 1980년 6월 광주지검이 민ㆍ관ㆍ군 합동으로 집계한 민간인 사망자 수는 165명”이라고 적었다.

이어 “적게는 수천 명 많게는 10만 명의 인파가 몰려 있는 장소에서 무차별 총기 공격을 했다면 엄청난 희생자가 발생했을 것”이라며 “165명 중에는 총기 오작동으로 인한 사망자, 음주운전ㆍ과속으로 인한 교통사고 사망자가 포함돼 있고 계엄군이 사용하지 않은 카빈총 등에 의한 사망자도 적지 않다”고 서술했다.

또 5ㆍ18 광주민주화운동의 ‘발포명령’과 관련해서는 “발포명령 자체가 없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휘관의 사격 명령이나 자위권 발동지시가 필요하지 않은, 개인적 판단과 행동만이 있었다”며 “5월 21일 전남도청 앞 상황에서 공수부대원들이 사격한 것은 자위권 행사 요건에 딱 들어맞는 경우”라고 적었다.

전 전 대통령이 회고록에서 ‘5ㆍ18민주화운동’을 ‘광주사태’라고 수차례 표현한 것도 5월 3단체(유족회ㆍ부상자회ㆍ구속부상자회)의 반발을 사고 있다. “참회록을 써야 할 사람들이 변명록을 써 놓았다”는 지적이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