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도시바 반도체 구출작전, 일본 정부 개입 움직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일본 정부와 금융계·재계가 공적자금을 투입해 ‘도시바 살리기’에 나설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 경우 SK하이닉스 등 한국은 물론 다수의 해외 기업이 참여하고 있는 도시바 반도체 사업 인수전은 완전히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될 것으로 보인다.

우수 기술, 인력 유출 반대 여론에 #국책은행 나서 지분 34% 확보 추진 #SK하이닉스 등 인수전 새 국면

17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에 따르면 국책은행인 일본정책투자은행은 도시바가 매물로 내놓은 ‘도시바메모리’에 출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민관 합작 펀드인 산업혁신기구(INCJ)가 인수 후보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도시바의 주요 협력업체들도 펀드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 ‘도시바 반도체를 해외 경쟁 기업에 넘기면 우수 기술과 인력을 뺏길 수 있다’는 일본 내 여론이 힘을 얻고 있는 모양새다. 일본 측은 도시바메모리 지분 34% 이상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회사 경영에 관한 중요 결정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닛케이는 “도시바메모리의 매각 금액인 약 2조 엔(약 20조원) 중 절반을 금융권 차입으로 해결한다면 3000억 엔 정도로 지분 30%대 후반을 확보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일본 전자기업의 자존심’으로 불린 도시바는 미국 원자력발전 자회사인 웨스팅하우스가 지난해 무려 7125억 엔(약 7조1250억원)에 달하는 손실을 내면서 벼랑 끝까지 몰린 상태다. 도시바는 막대한 채무를 갚기 위해 핵심 사업인 반도체 부문을 서둘러 매각하기로 했고 SK하이닉스를 비롯해 미국 웨스턴디지털, 대만 훙하이정밀공업(폭스콘) 등이 인수를 타진 중이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해외 매각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거세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일본 재계단체인 게이단롄의 사카키바라 사다유키 회장은 지난달 “반도체는 일본에 매우 중요한 산업이다. 기술과 인력의 해외 유출은 국가 안보와 국익 측면에서 큰 문제”라고 주장했다. 도시바의 쓰나카와 사토시 사장도 지난 14일 기자회견에서 “반도체 기술은 국가 안보와 관련이 있어 이를 염두에 두고 인수자를 선정해야 한다”며 보조를 맞췄다. 문제는 일본 정부의 컨소시엄 구성안이 부실회사에 구제금융을 지원하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정부가 나설 경우 사실상 해외 기업을 인수전에서 배제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이를 의식한 듯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17일 “도시바를 지원하는 조치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그러나 어떤 식으로든 정부가 주도하는 도시바 구출작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업계의 전망이다.

도시바의 웨스팅하우스 매각도 변수

일본 정부는 2012년에도 미국 사모펀드 KKR이 일본 반도체기업 ‘르네사스일렉트로닉스’의 지분을 인수하려고 하자 INCJ로 이를 차단했다. 샤프의 경우에도 정부 펀드가 인수하려 했지만 채권단이 반대해 지난해 대만의 훙하이에 매각했다.

일본 재계에 정통한 한 법조계 인사는 “샤프는 단지 가전제품을 파는 회사였지만 도시바는 반도체·에너지 등 국가 기술 안보와 관련한 회사”라며 “큰 프레임에서 보면 (정부가) 도시바를 도산시킬 수 없다”고 말했다.

반도체 사업 인수전에 미국의 웨스팅하우스도 변수가 될 수 있다. 미국 정부는 웨스팅하우스의 원전 사업에 83억 달러(약 9조6000억원)에 달하는 채무보증을 서고 있다. 도시바가 원하는 웨스팅하우스의 매각이나 파산 절차가 순조롭지 않을 수 있다. 로이터통신은 일본 정부가 원전을 둘러싼 미국과의 ‘외교 마찰’을 차단하기 위해 미국계 펀드나 기업들과 연대해 반도체 부문 인수전에 뛰어드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도시바의 1차 입찰 마감이 오는 29일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정부의 컨소시엄 구성 여부는 늦어도 이달 말 안에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소아 기자 ls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