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광고」너무 안팔린다 547억원 목표에 확정된건 161억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올림픽광고사업이 늪에 빠져 허위적거리고 있다.
올림픽조직위원회(SLOOC)의 허술한 계획, 실무자의 부정행위, 그리고 광고업계의 불황이 그원인이다.
광고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예상가 48억원 보다 14억원이 많은 62억원에 지하철 및 전철역 광고대행권을 따냈던 대주기획이 영업부진으로 최근사업권을 포기함으로써 계약보증금 17억원을 떼이는 사태에까지 이르렀다.
또 올림픽복권 광고권을 매당 5원65전에 따냈던 금강디자인도 낙찰후 1주일내에 정식계약을 체걸토록 되어 있으나 이를 이행치 못해 자동적으로 해약 당했다.
한편 치열한 경합 끝에 예상가의 2·5배나 되는 1백5억3천만원에 고속도로변 대형입간판광고대행권을 획득했던 거성애드는 내무부가 뒤늦게 입간판 설치장소를 1백개로 제한하는 바람에서 서울림픽조직위측과 재협상, 21억원으로 타결을 보았다. SLOOC가 당초 제시한 설치장소는 5백개소였다.
더구나 SLOOC측이 가장 큰 기대를 걸고 있던 택시광고(예상액 1백68억원)는 금년3윌부터 3차례나 입찹을 실시했으나 거듭 유찰되었고 사업성이 가장 좋다는 86아시안게임 경기장광고(예상액48억원)도 두 번에 걸친 입찰공고에도 적당한 업체가 나서지 않고있다.
이 때문에 SLOOC가 10가지 광고사업을 통해 총5백47억원의 기금을 조성하겠다던 계획중 현재 확정된 것은 불과 4건에 1백61억원(3억7천여만원어치의 소규모 부대광고 제외)으로 목표의약 30% 달성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올림픽 광고사업이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SLOOC의 주먹구구식 행정때문으로 내무부와 협의없이 5백개 설치를 계획했던 대형야립간판광고가 그대표적인 예다.
SLOOC의 광고사업을 통한 기금조성목표액은 88억원이었으나 사업성이 있어 보이자 지난해 7월 무려 6배나 늘어난 5백47억원으로 수정, 책정되었다.
이와같은 졸속행정속에 조직위원회의 광고사업담당 실무국장은 부정행위까지 저지른 사실이 최근 감사결과 적발되어 조직위원회 발족이후 최초로 지난달 15일 해임조치 되었다.
이를 계기로 인사이동과 새로운 사업계획 수립에 착수했지만 광고업계의 불황이 겹쳐 전망은 결코 밝지않다.
한편 조직위원회의 무계획성에 피해를 보기도 했지만 사업성이나 자체능력에 대한 신중한 점검없이 낙찰에만 혈안이 되어 무리한 결정을 벌인 업체들도 자성해야 한다는 것이 지배적인 의견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