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중 관계 급랭…정부 간 대화나 교류행사 취소될 수도

중앙일보

입력

역대 최상이라 불리던 한·중 관계가 폭풍우 속으로 빨려 들어갔다.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한반도 배치 결정이 몰고 온 폭풍이다. 중국 외교부가 사드 배치 프로세스의 즉각적인 중지를 요구한 데 이어 국방부는 “필요한 조치를 고려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나섰다. 한·미가 사드 배치 결정을 발표한 8일 밤 양위쥔(楊宇軍) 국방부 대변인 명의의 담화를 통해서다. 양 대변인은 "한·미 양국의 행위를 긴밀히 주시하고 있으며 국가의 전략적 안전과 지역의 전략적 균형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드 배치 강력 반발 중국의 다음 수순은
반한감정 악화될 경우 한국산 제품 불매운동 벌어질 가능성

'필요한 조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전략미사일 부대의 이동 배치 등 유사시 사드를 무력화하기 위한 방안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방부가 밤 시간대에 담화를 낸 건 대단히 이례적이다. 날이 바뀌기 전에 반드시 단호한 입장을 밝히고 넘어가겠다는 의지가 읽히는 대목이다.

시중의 여론도 부글부글 끓고 있다. 사드 배치 소식을 전하는 주요 매체의 관련 기사에는 격앙된 감정을 표출하는 댓글들이 달렸다. "한·중 관계가 원래 이런 것이었나"며 실망감을 나타내는 글과 "제2의 항미원조(抗美援朝·미국에 맞서 북한을 도움)를 펼쳐야 한다"는 강경론 등이 인터넷 공간을 메웠다.

국수주의적 강경론을 펼치는 것으로 유명한 환구시보는 한 술 더 떴다. 이 신문은 '사드에 맞서 중국이 할 수 있는 5가지 행동'이란 제목의 사설에서 사드 배치와 관련된 한국 정부기관과 기업, 정치인을 제재하라고 촉구했다. 이 신문은 "사드 배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한 한국 정계인사의 중국입국을 제한하고 그들 가족의 기업을 제재해야 한다"며 "그들과 다시는 경제관계, 왕래를 하지 말고 중국시장 진출을 허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날선 반응은 한국의 결정에 대한 실망감 혹은 배신감의 표출로 보인다. 박근혜 정부와 시진핑(習近平) 정부 사이에 역대 최상의 한·중 우호 관계가 형성되면서 중국이 사활을 걸고 반대하는 사안에 대해 한국이 일방적으로 미국의 편에 서는 일은 하지 않을 것이란 기대가 중국에 있었던 게 사실이다. 한·중 관계 일선에 오랫동안 종사해 온 한 당국자는 "예상은 해 오던 일이었지만 중국의 반발이 생각보다 훨씬 거세다"며 "이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해야 하는데 중국이 워낙 강경해 당장 묘수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런 기류를 감안하면 한·중 관계는 급랭 국면을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김장수 주중 대사를 이틀 연속 외교부 청사로 불러 항의한 데에서도 중국의 강한 반발을 읽을 수 있다. 문제는 중국의 다음 수순이다. 아직 예상하긴 이르지만 정부간 대화나 교류 행사들이 취소되고 각종 협력 사업들이 중단될 수 있다.

일각에선 중국이 경제 보복 조치를 취할 가능성을 거론하기도 한다. 한국이 중국산 마늘에 대한 관세를 인상하자 중국이 휴대폰 수입 금지 등 무역 보복으로 맞섰던 2000년의 마늘분쟁 사태가 재연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전문가나 정부 당국은 그런 보복조치를 취할 가능성은 작다고 본다. 스인훙(時殷弘) 인민대 교수는 "한·중 양국은 경제 교류를 통해 서로 이익을 보는 관계이기 때문에 경제 보복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도 마찬가지다. 주중 대사관 관계자는 "2000년 마늘분쟁 때와 달리 지금의 중국은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해 국제규범을 지키는 나라여서 섣불리 보복 조치를 발동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최근 몇몇 사례를 보더라도 지나친 낙관은 금물"이라는 견해도 있다. 중국은 2010년 반체제 인사 류샤오보(劉曉波)에게 노벨평화상을 준 것을 계기로 노르웨이로부터 연어 수입을 중단했다. 또 같은 해 중국 선박이 센카쿠 열도 인근 해역에서 일본 당국에 나포되고 선원들이 구속되자 희토류 금속의 일본 수출을 중단한 적도 있다.

이처럼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조치는 아니더라도 중국이 사용할 수 있는 카드가 중국엔 충분히 있다. 한국을 찾는 관광객 숫자를 줄이는 것은 중국 당국의 행정 지도 조치만으로 간단히 할 수 있다. 올 1월 대만 총통 선거에서 '하나의 중국'을 인정하지 않는 민진당의 차이잉원(蔡英文) 후보가 승리한 이후 대만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이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과 같은 현상이 한국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 정부의 보복 조치 단행 여부와 별개로 반한 감정의 확산이 한국산 상품의 판매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영토·과거사 갈등으로 중·일 관계가 악화됐던 2012년 일본산 자동차 불매운동이 일어나 판매량이 뚝 떨어진 적이 있다. 삼성의 한 베이징 주재원은 "살얼음판을 걷는 기분으로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예영준 특파원 yyjune@joogn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