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민심은 전쟁영웅 이성계에게…… 개국의 원동력이 되다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486호 1 면

【총평】


? 가마쿠라 막부(鎌倉幕府)는 13세기 몽골과의 전쟁 이후 무사들의 생활이 어려워지면서 무로마치 막부(室町幕府)로 교체되었다. 이 때 생활의 어려움을 겪던 서남 해안 지역의 어민과 무사, 상인들이 왜구가 되어 한반도와 중국 해안을 약탈했다. 이에 고려의 최영, 최무선, 이성계 등이 활약하여 왜구를 격퇴했다. 고려는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으로 정치적 불안이 가중되었고, 경제적 위기를 겪었지만, 외적을 물리치는 과정에서 큰 전가를 올린 최영, 이성계 등 신흥 무인 세력이 백성의 신망을 얻으며 성장하게 되었다.


? 만주를 장악한 명이 함경도와 강원도 경계에 있는 철령 이북 땅이 원래 원에 속했다는 이유로 이 땅을 관할하는 철령위를 설치하려 했다. 이에 당시 집권자였던 최영은 요동 정벌을 계획하고 이성계에게 요동을 정벌하도록 지시했다. 이성계는 4불가론(四不可論)을 내세워 요동 출병을 반대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

이성계의 4불가론(四不可論)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거역하는 것

? (以小逆大)

2. 농번기인 여름에 출병하는 것

?? (夏月發兵)

3. 원정군이 나가면 왜구가 그 빈틈을 노릴 염려가 있는 것

?? (擧國遠征, 倭乘其虛)

4. 장마철에는 활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전염병 발생의 우려가 있는 것

? (時方暑雨, 弓弩膠解, 大軍疾疫)


? 결국, 이성계는 명으로 들어가는 길목인 압록강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개경으로 진격했다(위화도 회군). 이성계는 최영을 귀양 보내 죽이고, 우왕을 폐위한 후 창왕을 왕위에 세웠다.


? 대부분 향리 출신의 중소 지주인 신진 사대부는 주로 과거를 통해 관직에 올랐다. 공민왕의 개혁을 계기로 정치적으로 성장한 신진 사대부는 홍건적과 왜구를 물리치는 과정에서 성장한 신흥 무인 세력과 함께 권문 세족에 대항하여 사회를 개혁하려 했다. 신진 사대부는 원과 교류하는 고정에서 성리학을 받아들였는데, 성리학은 당시 부조리한 사회를 개혁할 수 있는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조준 등 신진 사대부는 권문세족의 대토지 소유로 국가 재정이 어려워지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과전법을 단행했다. 과전법은 국가 재정을 확보함으로써 새 왕조 개창에 이바지하는 한편, 신진 사대부의 경제적 기반을 다져 조선이 양반 관료 사회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황산대첩비 전북 남원시 운봉읍 화수리에 있다. 이성계는 운봉전투로 남방 사람들에게도 무명을 떨쳤다. 일제는 반(反)시국적인 고적(古蹟)을 파괴한다는 명목으로 이 비를 깨뜨렸다. 지금 서있는 비석은 1957년에 다시 세운 것이다.

삼봉집 목판 정도전이 쓴 삼봉집의 목판이다. 정조 때 왕명으로 재간한 것이다. -사진가 권태균-

신진 사대부는 성리학을 받아들였지만, 당시의 현실 인식 및 개혁 방안의 차이에 따라 급진 개혁파와 온건 개혁파로 갈라졌다. 정도전, 조준 등을 중심으로 한 급진 개혁파는 부패한 고려 왕조 안에서는 사회 개혁을 달성할 수 없으므로 새 왕조를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색, 정몽주 등을 중심으로 한 온건 개혁파는 성리학적 명분에 맞지 않다는 이유로 새 왕조 건설에 반대했다. 결국, 급진 개혁파는 우왕과 창왕을 잇따라 폐위하고 공양왕을 세우면서 정치적 실권을 장악했다. 이들은 새 왕조 건설에 반대한 정몽주 등 온건 개혁파를 제거하고,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하여 조선 왕조를 건국했다(1392).


? 정도전이 수립한 도성 축조 계획에 따라 한양의 건축에는 유교 사상을 반영하려는 의지가 구현되었다. 궁궐 왼편에는 조상의 위패를 받드는 종묘, 오른편에는 토지신과 곡식신에게 제사 지내는 사직단을 두었다. 종묘 사직은 나라와 왕실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되었다. 한양을 드나드는 백성들이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의 유교 덕목을 존중하며 지키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동대문은 흥인지문, 서대문은 돈의문, 남대문은 숭례문, 북대문은 숙정문이라 하고, 중앙에 있는 종루는 보신각이라 했다.


? 태조에서 성종 때까지 조선은 갈등과 혼란 속에서 통치 질서의 기틀을 마련했다. 태조 이성계는 즉위한 뒤 단군 조선을 계승한다는 의미로 나라 이름을 조선이라 하고 한양으로 수도를 옮겼다. 국정을 주도한 정도전은 민본 사상을 강조하고, “조선경국전”을 편찬하여 조선 왕조의 통치 규범을 종합적으로 제시했다. 그리고 의정부를 국정 운영의 중심으로 하는 재상 중심의 관료 체제를 갖추었다. 또한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확립시켰다.


? 두 차례 왕자의 난을 통해 왕위에 오른 태종은 국왕 중심의 통치 체제를 정비했다. 태종은 6조 직계제를 시행하여 6조에서 의정부를 거치치 않고 곧바로 왕에게 재가를 받게 함으로써 의정부의 힘을 약화시켰다. 또 언론 기관인 사간원을 독립시켜 대신들을 견제했으며, 사병을 없애고 국왕의 친위 군사를 늘렸다. 태종은 세금과 군역을 확보하기 위해 양전 사업과 호구 파악에 노력했고, 호패법을 시행했다. 또 사원이 서유한 막대한 토지를 몰수하고 사원에 억울하게 소속된 노비를 조사하여 해방함으로써 사원의 경제적 기반을 축소했다.


? 조선을 건국한 혁명파 사대부들은 조선 건국 이후 중앙 관직을 차지하면서 중앙 집권과 부국강병을 추구하고 성리학적 통치 체제를 정비하는 데 앞장섰다. 이들을 관학파라 하는데, 관학파는 유학, 불교, 도고, 풍수지리 사상에도 포용적인 자세를 보였으며, 기술을 중시하고 시와 글 쓰는 것을 좋아했다. 고려 말에 조선의 건국에 참여하지 않고 재야로 물러난 사림파는 성종 때 본격적으로 중앙 정계에 진출하여 훈구파와 대립했다.


【핵심 키워드】


☞ 최영, 이성계 등 [신흥 무인 세력]이 백성의 신망을 얻으며 성장하였다. 이성계는 [4불가론(四不可論)]을 내세워 요동 출병을 반대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성계는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개경으로 진격했다([위화도 회군]).


? [신진 사대부]는 주로 과거를 통해 관직에 올랐다. 신진 사대부는 [성리학]을 받아들였는데, 성리학은 당시 부조리한 사회를 개혁할 수 있는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권문세족의 대토지 소유로 국가 재정이 어려워지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과전법]을 단행했다. 당시의 현실 인식 및 개혁 방안의 차이에 따라 [급진 개혁파]와 [온건 개혁파]로 갈라졌다.


? 국정을 주도한 정도전은 민본 사상을 강조하고, “[조선경국전]”을 편찬하여 조선 왕조의 통치 규범을 종합적으로 제시했다.


? 조선을 건국한 사대부들은 중앙 집권과 부국강병을 추구하고 성리학적 통치 체제를 정비하는 데 앞장섰다. 이들을 [관학파]라 한다. 고려 말에 조선의 건국에 참여하지 않고 재야로 물러난 [사림파]는 성종 때 본격적으로 중앙 정계에 진출하여 훈구파와 대립했다. ☜


【정답 및 해설】


1. (가)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태조가 고려의 법을 따라 (가)을/를 설치하여 대사헌을 비롯한 20명의 관리를 두었다. … (중략) … 재상이나 대신이 허물이 있으면 법으로 규탄하고, 종친과 외척 중에 교만하고 사나운 자가 있으면 탄핵한다. 곧은 자를 천거하고 굽은 자를 버리며, 흐린 것을 배격하고 맑은 것을 찬양한다. 정색하고 조정에 서면 모든 관료가 떨고 두려워 한다. 그 책임이 어찌 중차대하지 않겠는가.

-『연려실기술』-


① 6조를 관할하며 국정을 총괄하였다.


② 화폐와 곡식의 출납에 대한 회계를 맡았다.


③ 중서문하성과 중추원의 고관으로 구성되었다.


④ 권력의 독점과 부정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였다.


⑤ 국왕의 비서 기관으로 왕명 출납을 담당하였다.

* 2013년 10월 학력평가 11번

* 19회 "악역을 자청한 임금 ① 태종" 문제 1번

해설 : 정답 ④

④ 사헌부는 관리를 규찰하고, 인사에 대한 서경권을 담당하는 등 권력의 독점과 부정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였다.


2.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우리나라의 가르치는 방법은 중국의 제도를 따라 중앙에는 성균관과 사학(四學)을 두고 지방에는 향교를 두었으니 좋다할 만합니다. 그러나 유독 (가) 이/가 설치되었다는 말은 들은 바가 없었으니, 이는 우리 동방의 큰 결점이었습니다. 그러던 중 주세붕이 이를 세울 뜻을 가다듬어 전례에 없던 장한 일을 단행하였습니다. 이는 하늘이 우리로 하여금 중국과 같게 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① 선현에 대한 제사와 교육을 담당하였다.


② 사림의 정치적 여론을 형성하는 근거지였다.


③ 수령 보좌를 목적으로 설치된 자문 기관이었다.


④ 성리학 연구와 지방 문화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⑤ 영조 때 붕당의 기반이라는 이유로 대폭 정리되었다.

* 2014학년도 6월 모의평가 2번

* 19회 "악역을 자청한 임금 ① 태종" 문제 2번

해설 : 정답 ③

③ 수령 보좌와 향리 규찰을 목적으로 설치된 자문기관은 유향소이다.


3.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큰일을 이루신 후, 저희를 재상의 높은 자리에 앉게 하시고, 개국 공신의 첫째로 이름을 올려 주셨습니다. 신은 (가) 등과 세운 공도 같았고, 처음에는 뜻으로 함께 하였습니다. 그러나 (가)이/가 중국의 천자에게 죄를 얻으면서부터, 남은과 결탁하여 요동을 치자고 꾀해서 한 몸의 화를 면하려 하였습니다. 신이 병을 무릅쓰고 기운을 내어 전하를 뵙고 전하의 뜻을 돌이키니, 간사한 계책이 드디어 저지되었습니다.


① 경제육전을 편찬하였다.


② 재상 중심의 정치를 주장하였다.


③ 전면적인 토지 제도 개혁에 반대하였다.


④ 위화도 회군을 계기로 정계에서 제거되었다.


⑤ 재야에서 후진을 양성하여 사림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2013학년도 수능 12번

* 19회 "악역을 자청한 임금 ① 태종" 문제 3번

해설 : 정답 ②

② 정도전은 재상 중심 정치를 주장하며 좋은 재상을 발탁해 정치 실권을 부여하여 위로는 임금을 받들어 올바르게 인도하고, 아래로는 백관을 통괄하고 만민을 다스리는 중책을 부여하자고 주장하였다.


4.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역사 Q & A]

Q 궁금 합니다

(가)의 일대기를 정리해 주세요.

?

A 답변입니다

19세 성균시에 합격

48세 조준, 정몽주 등과 공양왕 추대

51세 개국 일등 공신 책봉

53세 『심기리편』저술, 한양 천도 주도

54세 『고려국사』편찬

57세 1차 왕자의 난으로 사망


① 노장 사상과 양명학을 포용하려 하였다.


② 경연을 강화하고 위훈을 삭제하 것을 주장하였다.


③ 주례의 통치 이념을 바탕으로 한 법전을 편찬하였다.


④ 고조선에서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서술하였다.


⑤ 화약 무기의 제작과 사용법을 정리한 병서를 편찬하였다.

* 2011학년도 6월 모의 평가 13번

* 19회 "악역을 자청한 임금 ① 태종" 문제 5번

해설 : 정답 ③

③ 정도전은 유가의 이상 제도인 “주례”를 바탕으로 6전 체제의 “조선경국전”을 편찬했다.


5.?(가)~(다)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과전법의 시행과 변화


구분


내용


과전법


? 경기 지역 토지에 한하여 관리에게 수조권 지급


? 관리의 유가족에게 (가)와/과 휼양전 지급


(나)


? 현직 관리에게만 수조권 지급


? 시행 과정에서 (다) 도입 : 관청에서 수조를 대행하여 관리에게 지급

[보기]

ㄱ. (가)는 과전 세습의 수단이 되기도 하였다.

ㄴ. (나)에서는 경기 이외 지역의 토지도 지급되었다.

ㄷ. (다)는 양반 관리들의 과다한 수취를 시정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ㄹ. (나)의 시행 시기에도 (가)는 계속 지급되었다.


① ㄱ, ㄴ ? ?② ㄱ, ㄷ ? ?③ ㄴ, ㄷ ? ?④ ㄴ, ㄹ ? ?⑤ ㄷ, ㄹ

* 2013학년도 6월 모의 평가 8번

* 20회 "악역을 자청한 임금 ② 세조" 문제 2번

?

해설 : 정답 ②

(가)는 수신전, (나)는 직전법, (다)는 관수관급제이다.

ㄱ. 수신전은 과전 세습의 수단이 되기도 했다. ㄷ. 관수관급제는 양반 관리들의 과다한 수취 시정하기 위해 시행된 것이다. 국가가 전체적으로 모두 거두었다가 관리들에게 지급하는 형태로 변화하게 된 것이다.


6. 다음 건의가 있었던 시기의 경제 상황으로 옳은 것은?


근래에 전하께서 수신전과 휼양전을 없애시어 관리가 죽으면 그 처자의 생계가 막연해 졌습니다. 그리하여 과부는 수절하지 못하고 고아는 효도를 다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바라건대, 선왕의 옛 제도를 회복하시어 절의를 지키고 외로운 자를 부양할 수 있도록 하소서.


① 세금과 소작료를 동전으로 납부하는 추세가 확산되었다.


② 군인의 유가족에게는 생활 대책으로 구분전이 지급되었다.


③ 관직에서 물러난 관리는 국가에 수조권을 반환하여야 했다.


④ 영정법 시행으로 풍흉에 관계 없이 1결당 전세가 고정되었다.


⑤ 관리의 관직 복무에 대해 국가가 지급하는 대가로 녹봉만 남았다.

* 2011학년도 9월 모의 평가 15번

* 20회 "악역을 자청한 임금 ② 세조" 문제 3번

해설 : 정답 ③

③ 직전법에서는 현직 관리에게만 수조권이 지급되기 때문에 관직에서 물러나면 국가에 수조권을 반납해야 했다.


7. 조선 시대 토지 제도의 변천 과정이다. (가)의 조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전직 관리에게도 토지를 지급하였다.


② 토지에 대한 국가의 지배권이 약화되었다.


③ 수신전, 휼양전 등의 명목으로 토지의 세습이 이루어졌다.


④ 지조 전호제가 사라져 농민들의 생활이 안정되는 계기가 되었다.


⑤ 관료들이 수조권을 빌미로 토지와 농민을 지배하는 방식이 사라졌다.

* 2005학년도 6월 모의평가 7번

* 20회 "악역을 자청한 임금 ② 세조" 문제 6번

해설 : 정답 ⑤

⑤ 관수관급제의 실시로 양반 관료들의 수조권을 빌미로 토지와 농민을 지배하는 방식은 사라지고 국가의 토지 지배권이 강화되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