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임을 위한 행진곡’ 합창 방식 유지…제창과 무슨 차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5·18광주민주화운동 36주년 기념식을 이틀 앞둔 16일 오후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에서 36주년행사위원회가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촉구' 긴급 기자회견을 연 뒤 '임 행진곡'을 부르고 있다. [사진=뉴시스]

국가보훈처는 올해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합창 방식으로 부르는 기존 방식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보훈처는 16일 보도자료를 통해 “올해 행사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은 공식 식순에 포함해 합창단이 합창하고 원하는 사람은 따라 부를 수 있도록 ‘참석자 자율 의사’를 존중하면서 노래에 대한 찬반 논란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보훈처는 2009년 5·18 기념식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에서 합창으로 바꿨다. 올해도 합창으로 부르는 기존 방식을 유지하게 되면서 합창·제창이 왜 논란이 되는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합창(合唱)과 제창(齊唱)은 비슷해 보이지만 음악적인 면을 떠나 정치 성격을 띤 행사장에서 ‘유의미하고 미묘한’ 차이를 보인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합창은 여러 사람이 서로 화성을 이루면서 다른 선율로 노래를 부르는 것이고 제창은 여러 사람이 다 같이 한 성부를 노래하는 것이다.

합창은 합창단이 부르는 것이고 제창은 행사에 참석한 모든 사람이 부르는 것이다. 따라서 합창은 합창단이 부를 때 참석한 모든 사람이 함께 불러도 무방하지만 부르지 않아도 어색하지 않다.

하지만 제창은 행사에 참석한 모든 사람이 불러야 의미가 커진다. 또한 행사에 참석한 주요 인사 입장에선 합창과 제창 사이에 미묘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합창을 할 땐 영상 카메라가 합창단에 초점을 맞추지만, 제창을 하면 주요 인사를 포함한 참석자들을 비추게 된다.

따라서 5·18 민주화운동이 전국에 TV를 통해 생중계되는데 제창하게 되면 주요 인사 모습이 전파를 타게 된다.

정부는 2003년부터 정부 주관으로 5·18 기념식을 열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2008년까지 기념식 식순에 포함돼 제창됐지만 MB정권인 2009년부터 합창 방식으로 바꿨다.

이후 2009년부터 2010년까지 2년간은 본 행사에서 제외하고 식전 행사에서 합창단이 불렀지만, 야당과 5·18단체에서 본 행사 식순에 반영해 제창할 것을 지속적으로 요구했다.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5·18 기념식 때 악보를 보지 않고 이 노래를 처음부터 끝까지 유족들과 제창한 모습이 TV를 통해 전국에 생중계돼 화제가 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2013년 5·18 기념식 때 자리에서 일어나 이 노래를 부르지 않고 태극기를 흔들었다. 박승춘 보훈처장도 당시 노래를 부르지 않았다.

보훈처는 “2016년 현재까지도 임을 위한 행진곡 기념곡 지정·제창과 관련해 찬성과 반대 논란이 해소되지 않고 있어 정부입장을 정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어 보훈처는 현재까지도 찬성과 반대 논란이 해소되지 않아 정부입장을 정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라 판단하고, 본 행사인 기념공연에서 합창단이 합창하고, 부르고 싶은 사람은 따라 부르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부르지 않을 수 있도록 “참석자 자율의사”를 존중하는 것이 논란을 최소화하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밝혔다.

앞서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16일 자신의 SNS를 통해 “오늘 아침 7시 48분 청와대 현기환 정무수석으로부터 어젯밤 늦게까지 보훈처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의 기념곡 지정에 대한 논의 결과 국론분열의 문제가 있어 현행대로 합창으로 결정, 청와대에 보고한다는 연락을 받았다며 이해를 바란다는 연락을 받았다”고 전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당 최고위원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새누리당과 더민주에 제안을 한다”면서 “공동으로 임을 위한 행진곡이 지정곡이 될 수 있도록 법안을 개정하고, 또 박승춘 보훈처장은 국무위원이 아니기 때문에 해임청구건의안의 공동발의를 제안한다”고 말했다.

배재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