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강남 40대를 정의하다 ③문화] 우린 아저씨·아줌마 아니다, 여전히 트렌드의 중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4면

2016년 40대 초중반을 일컬어 ‘영포티‘(Young Forty)라고 부른다. 1990년대 그들은 ‘X세대’로 불렸다. 그전 세대의 가치관과 삶의 방식을 거부하고 자신들만의 방식대로 살아가는 이들을 과거 기성세대는 이해하지 못했다. 과거의 잣대로는 그들을 파악할 수 없다는 의미에서 ‘알 수 없는 세대’, X세대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그로부터 20여 년이 지난 현재, 그들은 이 사회의 중심으로 떠올랐다. 2014년 기준 40대는 851만 명으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선거권을 가진 가장 강력한 정치적 세력이자 탄탄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제활동인구의 중심이 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트렌드를 주도하는 강남의 40대는 영포티의 삶을 대표한다. 이들이 이끄는 한국 사회는 어떤 모습일까. 江南通新은 창간 3주년을 맞아 지난 2월 3~17일 15일 동안 강남·서초구에 거주하는 40대 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들을 통해 현재 한국 사회를 이끄는 40대의 정치·경제·여가·가족·은퇴·문화에 대한 생각을 들여다봤다.

커버스토리 강남 40대를 정의하다 ③문화
우린 아저씨·아줌마 아니다, 여전히 트렌드의 중심

기혼자 8% 자녀 없고 미혼도 12%
응팔, 토토가 등 콘텐트 생산·소비 좌우
“부모님 세대와 외모·생각 모두 달라”

기사 이미지

90년대 X세대로 새로운 문화를 이끌었던 영포티는 여전히 트렌드에 민감하다. 이들이 산업의 중심인 40대가 되면서 자신의 경험을 대상으로 콘텐트를 만들고 이는 다시 40대뿐 아니라 전 연령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  

가족 관계만큼 중요한 동호회 관계

40대는 가족 관계 못지않게 사회적 관계를 중요하게 여긴다. 회사·집·동창 등 소속 집단에 국한됐던 관계의 폭은 PC 통신을 비롯해 IT 수단의 발전에 따라 전국, 나아가 전 세계로 확대됐다. 이들은 공통의 관심사를 중심으로 친구를 만들어 간다. 기존 세대보다 친구의 폭이 훨씬 넓다. 과거 명절에 상사나 가족 친지들에게 인사하러 다녔다면 영포티는 그 시간에 취미가 같은 사람들과 영화를 보러 가거나 여행을 한다.

기사 이미지

이는 가족관에도 영향을 줬다. 결혼이나 출산을 필수로 여겼던 과거와 달리 두 가지 모두 선택 가능한 것으로 본다. 결혼도 출산도 안 해도 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늘어난 세대다. 전체 40대 대상 설문에서 11.9%가 미혼이었는데 모두 46세 이하 영포티에 속했다. 이 중 27.3%만이 결혼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나머지는 결혼 계획이 없거나, 모르겠다고 했다.

기사 이미지

자녀관도 변화했다. 기혼자 중 8.3%는 자녀가 없었고, 그 절반은 자녀 출산 계획이 없었다. 대학원에 재학 중인 김모(43·반포동)씨는 “공부를 하고 있어서 자녀 양육에 시간을 들일 여력이 없다”고 말했다.

이렇게 달라진 가족관은 타인과의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이 달라진 것에서 한 가지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전통적으로 한국은 가족을 사회를 구성하는 주요 집단으로 여겼다. 그러나 지난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사회 연계 지원 부분’에서 한국인들의 삶의 질은 34개 회원국 가운데 27위로 최하위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사회 연계 지원 부문에선 꼴찌였다. 사회 연계 지원은 어려울 때 의지할 친구나 친척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인데 한국의 사회 연계 지원 점수는 72.37로 평균인 88.02 보다 크게 낮았다. 김용섭 소장은 “전통적으로 가족을 중요하게 여겨온 한국인이 정작 순수한 도움이 필요한 순간 의지할 사람이 없다는 건 결국 ‘가족=외롭지 않다’는 생각이 틀렸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기사 이미지

자녀에게 투자하는 자녀 1인당 교육비는 100만~200만원 사이가 58.8%로 가장 많았다. ‘2015 강남구 사회조사’에서도 고등학생 1인당 교육비는 130만원, 중학생 88만8000원, 초등학생 57만8000원의 사교육비를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 중심지인 대치동의 경우 고등학생 1인당 사교육 평균 지출이 257만4000원을 기록했다.

해외 경험을 가진 강남의 40대는 한 달 100만원이 넘는 영어유치원에 아이를 등록하고, 초등학교 땐 영어권으로 캠프를 보낸다. 대학 시절 미국에서 유학한 주부 김모(40)씨는 “영어는 이제 필수다. 아이가 초등학생 때부터 방학 때 캐나다로 영어캠프를 보냈다. 유학이 필수라고 생각하진 않지만 영어에 익숙하게 해주고 싶다”고 말했다.

대중문화의 황금기를 누린 X세대

압구정역과 강남역은 90년대 20대 대학생들의 놀이터였다. 좀 논다는 대학생들은 인기 카페가 모여 있던 압구정동과 청담동을 1주일에 서너 번씩 찾았다. 테이블 위에 놓인 전화기로 친구에게 삐삐를 치고, 과일과 시리얼, 아이스크림을 켜켜이 쌓아올린 파르페와 톡 쏘는 맛의 수입 음료 ‘닥터 페퍼’를 즐겨 먹었다.

김건모·신승훈·서태지와아이들 등이 최고의 인기 가수였고, 강남행 12번 좌석버스는 트렌디한 젊은이들로 가득했다. 패션잡지 속 모델이나 TV 속 연예인들을 따라 흉내 내는 이들도 많았다.

지금의 40대는 과거 40대의 아저씨·아줌마의 이미지를 거부한다. 직장인 김진형(43·청담동)씨는 “부모님이 40대였을 때와 지금 우리는 외모나 생각 모두 다르다”고 말했다. 실제로 어느 세대보다 트렌드에 민감했던 게 X세대며, 그 중심에 강남 영포티가 있었다. 직장인 이영훈(41)씨는 “나이가 들어도 꾸준히 트렌드에 관심이 많다. 디지털 기술이 발달하면서 한국뿐 아니라 외국 트렌드를 접하는 게 더 쉬워졌는데 나이 들었다고 최신 트렌드를 멀리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90년대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MBC무한도전 ‘토요일토요일은가수다’를 통해 90년대 활동했던 가수들이 다시 무대에 올랐고, tvN의 드라마 ‘응답하라’ 시리즈는 90년대 유행했던 음악과 시대 상황을 보여주며 사람들을 추억에 잠기게 했다.

90년대는 한국 역사상 가장 대중문화가 발전했던 황금기였다. 인기 가수의 앨범은 200만 장씩 팔렸다. 정덕현 문화평론가는 “90년대는 대중문화의 르네상스였다. 다양한 장르의 음악이 공존하던 시대다. 당시 가요톱10을 보면 댄스·발라드·아이돌이 함께 순위에 올랐다”고 말했다. 예술을 넘어 산업적인 체계도 잡혔다. 기획사에서 준비한 가수들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며 H.O.T나 S.E.S가 아이돌 세대를 열었다.

90년대 대중문화는 최근 재조명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90년대 문화의 중심에 있던 20대가 지금 산업의 중심인 40대이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콘텐트를 만드는 사람도, 콘텐트를 소비하는 사람도 모두 40대라는 얘기다. 특히 90년대 X세대로 새로운 대중문화를 만들어 냈던 영포티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콘텐트를 만들어 내고 있으며, 이 콘텐트는 40대뿐 아니라 10대 등 전 세대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송정 기자 song.jeong@joongang.co.kr

'강남 40대를 정의하다' 커버스토리 더 보기
①정치 우린 보수도 진보도 아니다
②경제 우린 부동산도 주식도 믿지 않는다
③문화 우린 아저씨·아줌마 아니다, 여전히 트렌드의 중심
④인터뷰 "예전의 40대와 지금은 다르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