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北 미사일엔 "유감" 한·미 사드엔 "깊은 우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중국 정부는 한미 양국이 7일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군사적 대응 조치로 미국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의 주한미군 배치 논의에 공식적으로 착수한 데 대해 '깊은 우려(深表關切)'를 표명했다. 중국이 앞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자체에 대해서는 '유감'을 표시한 것과 미묘한 차이가 난다.

이러한 차이는 중국중앙방송(CC-TV)의 메인 뉴스인 신원롄보(新聞聯播)의 보도에서도 엿보였다. 현지시간 저녁7시(한국시간 오후8시)에 방송된 신원롄보는 뉴스의 대부분을 춘제 분위기에 대한 보도로 채우면서 북한 로켓 발사 소식을 전혀 보도하지 않았다. 하지만 한국의 사드 도입 결정에 대해서는 뉴스 마지막 부분에 앵커가 화면없이 외교부의 입장을 낭독하는 형식으로 보도했다.

 앞서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중앙일보의 서면질의에 대한 답변서에서 "중국의 (한반도) 미사일방어 문제에 대한 입장은 한결같고 명확한 것"이라며  "한 국가가 자신의 안전을 도모할 때에는 다른 국가의 안전 이익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화 대변인은 "관련국이 만약 미사일방어체계를 배치하는 행동에 돌입한다면 한반도 상황을 자극해 긴장을 한층 더 끌어올리게 되고 이는 지역의 평화 안정을 수호하는 데에도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각국이 현재의 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데에도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며 "우리는 관련국가가 이 문제를 신중하게 처리하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화 대변인이 언급한 관련국(유관국가)는 한국과 미국을 지칭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화 대변인은 북한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중국은 조선이 국제사회 보편적 반대에도 불구하고 탄도미사일 기술로써 발사를 강행한데 유감을 표시한다”고 밝혔다. 화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는 형식의 발표문을 외교부 홈페이지에 게재하며 “중국은 조선이 본래 우주공간의 평화적 이용권리가 있다고 인식하지만, 이 권리는 현재 유엔 안보리 결의로 제한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각 관련국들이 냉정하게 대응하고 신중하게 행동하기를 희망하며, 조선반도 긴장을 더 높일 수 있는 행동을 취하지 않아야 한다”며 공동으로 이 지역 평화안정을 지켜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화 대변인은 “중국은 일관되게 오직 대화와 협상을 통해서만 조선반도의 평화안정을 실현하고 과 장기적 안정으로 가는 방법을 찾아낼수 있다고 인식한다”고 거듭 밝혔다.

 중국의 이런 논조는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5일 박근혜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표명한 입장과 비슷한 것이다. 이를 감안하면 북한이 핵실험 한 달 만에 미사일 발사를 감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정부는 대북 제재 수위를 높이자는 국제사회의 요구에는 여전히 신중한 자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화 대변인은 중앙일보의 “현재 유엔 안보리에서 논의 중인 강력한 대북 제제안에 대한 중국의 입장에 변화가 있느냐”는 서면 질의에 “중국은 일관되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행동은 한반도 비핵화 실현, 한반도 평화와 안정 유지, 대화와 협상을 통한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이란 입장을 주장했다”며 기존의 북핵 3원칙을 제차 강조했다. 그는 이어 “관련 국가는 안보리 협상에 창조적이고 우호적인 분위기로 응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은 물론 미국과 한국의 사드 배치도 동시에 겨냥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북한의 동창리 발사장에서 40㎞ 거리인 북·중 국경도시 단둥(丹東)은 특별한 동향 없이 평온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현지의 대북 소식통이 밝혔다. 이 소식통은 "북·중간 무역 물자를 실은 차량 통행이 6일부터 중단되긴 했으나 이는 로켓 발사와는 무관하다"며 "춘절 연휴로 인해 단둥 세관이 6일부터 닷새 가량 업무를 중단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세관 휴무 직전인 5일에는 평소보다 많은 량의 차량이 북한으로 넘어가는 모습이 보였다"고 덧붙였다.

베이징=예영준·신경진 특파원 yyjun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