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혁재 사진전문기자의 '뒷담화'] 김정운의 격한 외로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여러가지문제연구소’ 김정운 소장의 인터뷰 통보에 올 것이 드디어 왔다 싶었다.
인터뷰를 빌미로 속내를 듣고 사진을 찍고 싶은 사람으로 손꼽고 있던 터였다.

마침 『가끔은 격하게 외로워야 한다』는 책을 냈다고 했다.
게다가 ‘여러가지문제연구소’도 새로 꾸몄다고 했다.
사람도 사람이거니와 책과 그 공간도 궁금했다.

책 제목부터 묘한 끌림이 있었다.

책 제목으로 연상한다면 ‘여러가지문제연구소’는 ‘격한 외로움의 해소 공간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를 처음 만난 건 거의 일 년 전이었다.
혜민스님이 묻고 그가 답하는 대담에서였다.
여러 가지 사정으로 그 대담을 듣지 못할 형편이었다.
사진촬영도 대담 중간에 잠깐 짬을 내야만할 여건이었다.

아침부터 슬슬 내린 눈이 제법 쌓인 날이었다.
혜민스님과 김정운소장을 중앙일보 옥상 눈밭에 서게 했다.
그날 대담의 핵심 주제가 무엇인지 김 소장에게 물었다.

‘재미’와 ‘의미’라고 답했다.

‘삶은 재미있으되 의미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들렸다.

눈밭에 재미와 의미를 써 달라고 주문했다.
그가 발로 ‘재미’를 가로로 먼저 썼다.
그리고 ‘미’자 위에 세로로 ‘의’자만 덧붙였다.

기사 이미지

즉흥적인 질문과 요구에 한 치의 망설임 없이 눈밭에 쓴 ‘재미와 의미’,
가로로 읽으면 재미, 세로로 읽으면 의미였다.

사실 가로로 ‘재미와 의미’를 쓸 것이라 지레짐작 했었다.
그의 기발함에 감탄했다.

시간과 상황이 여의치 않아 다음을 기약해야 했다.
그리고 손꼽던 만남이 거의 일 년 만에 이루어진 게다.

그의 연구소로 들어섰다.
반갑게 인사를 건네는 그의 얼굴, 왠지 말끔했다.

얼굴에서 '격한 외로움'이 느껴지지 않는다며 농담을 건넸다.

“잘생겨 지신 거 같은데요?”

“좀 전에 사우나를 하고 와서 그래요”라며 거침없이 웃었다.

사실 카메라 앞에서 거침없이 웃을 수 있는 사람, 드물다.

대부분 거침없이 웃다가도 카메라를 의식하는 순간 표정이 굳어지게 마련이다.
카메라가 있건 없건 거침없는 표정, 남다른 내면의 자신감일 터다.
이십 년 이상 사진을 찍어 온 내 경험에서 보면 적어도 그렇다.

기사 이미지

취재기자가 물었다.

“교수를 관뒀으니 호칭을 뭐라 해야 할까요?”

“소장도 그렇고 이제 교수도 아니니 작가 어때요? 글 되지, 그림 되지….”

또 거침없이 웃으며 우스개처럼 말했지만, 이젠 작가로 살겠다는 의지가 담겨있었다.

취재기자가 공간에 대해 질문을 했다.
그가 기다렸다는 듯 답했다.

너무 좋아요. 이런 공간을 만들었다는 게. 친구의 건물인데 거의 공짜로 빌렸어요. 꿈만 같아요.”

‘꿈만 같다’는 그의 공간을 둘러봤다.

하나의 방으로 이루어진 공간이지만 그 안에서 나름의 구분이 있었다.

책장과 책상, 음향시스템과 소파, 이젤과 그림 도구, 커피 용기와 테이블.
공간으로 판단컨대,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고, 음악을 듣고, 차를 나누는 일이 그의 꿈이었다는 얘기였다.

기사 이미지

인터뷰 중 ‘가끔은 격하게 외로워야 한다’는 의미를 그가 말했다.

현대인은 고독하면 안 된다는 강박관념에 매여 산다. 평균수명이 짧았을 땐 문제가 안 된다. 백세시대가 되면 문제가 된다. 매년 건강검진 받는 시대이니 돌연사를 하고 싶어도 못할 정도가 된다. 그러면 고독이 필연적으로 따르게 된다. 외로운 개인은 외로움을 회피하려 적을 만들게 된다. 적을 만들면 내 편이 생긴다고 생각하게 된다. 분노·적개심으로 고독감·상실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적을 만드는 건 이데올로기 때문이 아니라 외로움 때문이다. 쓰나미같은 집단 공황이 올 수도 있다.”

받아 적기도 만만치 않을 만큼, 빠르게 이야기를 풀어간다.
표정에서 웃음기는 어느새 없어졌고 진지함만 있었다.

“외로움은 해결하는 게 아니고 받아들여야 하는 거다. 자기를 상대화해서 자기를 들여다 봐야 한다. 외로우면 정말 나에게 중요한 것과 내가 좋아하는 것을 알게 된다.”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격하게 외로워야 할 이유였다. 나아가 답까지 들려줬다.

내가 좋아하는 것을 공부해야 한다. 주체적인 삶은 내가 좋아하는 것을 공부할 때 비로소 가능해진다. 공부란 남의 돈 따먹기 위한 공부가 아닌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의 공부를 말하는 거다.”

갑자기 나의 카메라를 가리키며 말을 이었다.

“쉽게 말해 사진, 커피 같은 거 공부하는 거다. 평생 좋아할만한 것을 찾고 공부하는 거다.”

그는 교수를 그만두고 일본으로 가서야 자신을 살펴보게 되었다고 했다.
그 외로움을 통해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것을 찾았다고 했다.
바로 그림이었다.
심지어 외로움이 준 선물이라고 했다.

그러고 보니 책장에 기대어 있던 그림이 그가 직접 그린 것이었다.
그것이 바로 그의 책 표지 그림이었다.

기사 이미지

결국 그가 인터뷰 내내 말했던 것은 바로 자신의 이야기였다.

바쁨과 성공을 동일시하며 살았고, 그렇게 산 게 제대로 된 삶이 아니었으며, 격한 외로움 속에서 답을 찾은 그의 고백이었다.

인터뷰 후 사진을 한 컷 더 찍자고 부탁을 했다.

“김 작가님, 예전 어느 방송에서 퍼머머리 이야기를 들은 적 있습니다. 인생을 퍼머 전과 후로 나뉜다고 하셨죠. 퍼머를 하고 보니 그에 맞는 옷 스타일이 있고, 옷 스타일을 바꾸니 행동도 바뀌었다고 하셨잖아요. 머리를 넘기고 사진을 한 장 찍고 싶은데요.”

“아! 맞아요”며 거리낌없이 포즈를 취했다. 당당했다.
머리 이야기를 꺼내고 사진을 찍은 건 그의 원초적 모습을 기록해놓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거기서부터 비롯되어 오늘에 이른 게다.

기사 이미지

그는 여수로 또 떠날 계획이라고 했다.
서울에 있으면 잘난 척만 하게 되고 자꾸 실수를 한다고 했다.
게다가 여기 있으면 또 바빠져 당신 속에 든 걸 제대로 꺼낼 수 없다고 했다.
‘격한 외로움’후 만든 공간과 현재의 모습, 여기가 끝이 아니란 얘기였다.

그렇다면 이 다음은 또 뭘까?

권혁재 shotg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