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중 앞둔 케리, 윤병세와 통화…박 대통령 제안 5자회담 공감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기사 이미지

케리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한·미 양국이 중국을 거세게 압박하고 있다.

중국서 “6자회담 재개 촉구” 응수에
한·미는 중국 ‘대북제재’ 압박 공조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2일 “창의적 접근”을 말하며 “북한을 제외한 5자회담”을 제안하자 중국은 6시간 만에 “6자회담 재개 촉구”(훙레이 외교부 대변인)로 응수했다. 그러자 미국은 하루 뒤인 23일 주한 미국 대사관 성명을 내고 “5자회담 지지”를 선언했다.

일요일인 24일엔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존 케리 미 국무장관과 통화를 했다. 외교부는 전화통화 뒤 낸 자료에서 “(한·미 간) 다양한 수준의 긴밀한 전략적 협의를 했다”고 강조했다.

외교부 대변인실은 윤 장관과 케리 장관의 통화가 27~28일로 예정된 케리 장관의 중국 방문을 앞두고 이뤄졌으며 방중 직후에도 통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미 국무장관의 방중을 전후해 한·미가 공조하는 장면을 연출한 것이다.

전화통화는 윤 장관이 지난 20일 방한한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부장관에게 제의해 이뤄졌다고 한다. 윤 장관은 통화에서 “안보리 제재와 더불어 양자 차원의 제재 및 국제사회의 압력 조치들을 상호 추동하는 방식으로 추진해 북한의 전략적 셈법을 변화시키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으며 케리 장관도 동감을 표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박 대통령이 제안한 5자회담 등에도 공감대를 이뤘다고 외교부 대변인실은 설명했다. 미국은 중국 측에 대북 석유 수출 중단과 북한산 무연탄 수입 금지 등을 요구하고 있다.

대북제재를 놓고 ‘한·미 vs 중국’의 구도가 보다 명확해지는 양상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박 대통령은 대북제재가 이전과 다른 수준이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한 만큼 5차, 6차 핵실험을 막기 위해 중국이 나서야 한다는 점을 계속 강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5자회담을 거론하는 것 자체가 중국이 실질적인 제재에 참여해야 한다는 강한 메시지”라고 말했다. 하지만 중국이 북한에 대한 입장을 한국과 미국의 요구대로 변화시킬지는 미지수다.

중국전문가인 김흥규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장은 “시진핑(習近平) 주석은 과거 중국 지도자들과 달리 북한의 도발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게 한다는 원칙을 세우고 있다”며 “하지만 (중국 내에선) 한·미가 중국에 북핵 해결의 책임을 떠넘긴다는 불만이 있으며 5~6개의 계파가 이를 놓고 갈등하는 중”이라고 전했다.

◆“10여 개국, 북 핵실험 뒤 공관 개설 철회”=외교부 고위당국자는 24일 “북한은 지난해부터 해외에 공관을 개설하기 위해 다양한 접촉을 해왔으며 유럽 등지의 국가들도 평양에 공관을 개설하기 위해 북한과 접촉을 해왔다”며 “그러나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한 뒤 이 같은 협의가 중단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런 국가가 10여 개국에 달한다”며 “국제기구에서도 북한 과학자나 외교관과의 인적 교류를 무기한 연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20~23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포럼을 앞두고 주최 측은 이수용 북한 외무상의 초청을 철회했다.

신용호·전수진 기자
nova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