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질풍 불어야 억센 풀 알아” 한·중 공조 강조했지만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기사 이미지

한·중은 서울서 윤순구 국방부 국제정책관(오른쪽)과 관유페이 중국 외사판공실 주임이 15일 한·중 국방정책실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이 회의는 정례적인 협의체지만 이번엔 북핵 문제를 주로 논의했다. 관 주임은 “중국은 북한 핵실험을 반대한다”고 말했다. [뉴시스]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한국과 중국의 대북제재 공조 외교가 전개되고 있다.

황준국·우다웨이 북핵 대응 온도차
한국은 ‘강력하고 포괄적인’ 제재
중국은 ‘새롭고 적절하게’ 신중 강조
서울서 열린 양국 국방실무회의
중 “안보리 제재 결의안 작성 참여”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6자회담 수석대표)은 14~15일 베이징에서 중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협의한 뒤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결의 초안을 시급성을 가지고 적극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특히 황 본부장은 “어제(14일) 우다웨이 특별대표가 ‘세찬 바람이 불어야 억센 풀을 알아볼 수 있다(疾風知勁草·질풍지경초)’는 중국 속담을 소개했다”고도 전했다. 북핵이라는 세찬 바람이 불고 있지만 한·중 관계는 억센 풀처럼 버틸 수 있다는 뜻이다.

황 본부장은 우 대표가 박근혜 대통령이 대국민담화(13일)에서 ‘어렵고 힘들 때 손을 잡아주는 것이 최상의 파트너’라고 한 얘기를 먼저 꺼낸 뒤 이런 말을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외교적 수사(修辭)를 뛰어넘는 대북제재 등에 대해 중국 측은 여전히 신중했다. 북한의 핵실험 직후 한·미·일 3국이 북한에 대해 ‘강력하고 포괄적인 제재’를 하자고 뜻을 같이한 반면, 중국 측은 이번에 ‘새롭고 강력한 제재’를 말하면서도 ‘적절한 제재’를 강조했다고 한다.

기사 이미지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인 황준국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왼쪽)과 우다웨이 한반도사무특별대표가 14일 베이징에서 만났다. [사진 외교부]

황 본부장은 “(한·중 양국은) 안보리의 새로운 제재 결의를 통해 국제사회가 명확한 대응을 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의견을 같이했다”면서도 “결의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앞으로 계속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또 ‘대북제재를 둘러싼 한·중 간 시각차가 좁혀졌느냐’고 묻자 “앞으로 계속 접점을 모색해 나가야 하는 것”이라고 미래형으로 답했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수위를 최대한 끌어올리려 하고 있지만 중국의 확답을 듣진 못했다는 뜻이다.

다만 황 본부장은 “북한이 핵무장을 하면 국제사회에서 출로(出路·나가는 길)가 없음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 북한이 진지한 자세로 비핵화 대화와 협상에 나서야 한다는 점에 대해 인식을 같이했다”고 설명했다.

 6자회담 수석대표의 베이징 만남과 별개로 한·중 국방 당국은 15일 서울에서 15차 국방정책실무회의를 열었다. 회담에 참석한 국방부 당국자는 “중국 측 수석대표인 관유페이(關友飛) 국방부 외사판공실 주임은 ‘북한의 4차 핵실험이 안보리 결의와 9·19 공동성명을 위반한 것이기 때문에 중국이 안보리 제재 결의에 참여하겠다’는 말을 했다”며 “중국은 북한의 핵실험을 절대 반대한다. 북한 핵 문제로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나라가 한국과 중국이라는 언급도 있었다”고 전했다.

이 발표가 중국이 대북제재에 참여하기로 했다고 보도되자 정부 당국자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이 대북제재 결의안 작성에 참여하겠다는 것이고, 제재 수위를 높이는 데 동참하겠다는 뜻은 아닌 것 같다”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실제로 관 주임은 “관련 각국의 대화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고 한다.

중국 측은 지난해 12월 31일 개통된 양국 국방부 간 핫라인이 가동되지 않는 것과 관련해 “북핵 문제는 외교부에서 전담하고 있다. 이 문제로 중국 국방부장이 다른 나라와 통화한 적이 없다”고도 설명했다. 반면 중국은 6자회담 수석대표 접촉과 국방정책실무회의에서 한국 정부의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도입 검토 움직임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고 복수의 정부 당국자가 전했다. 

정용수 기자, 베이징=신경진 특파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