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메께라, 맨도롱 또똣햅주"…제주말, 제주 학교서 가르친다

중앙일보

입력

 

메께라. 소라지고 있는 제주말 살리젠 학교에서 수업헌댄 햄수다.

제주어로 ‘놀랍네요. 사라지고 있는 제주어를 되살리려고 학교에서 수업을 한다고 합니다’는 뜻이다. 뜻 그대로 내년 학기부터 제주의 유치원, 초·중·고등학교에서 제주어 교육이 이뤄진다. 제주도의회는 앞서 14일 ‘제주도 각급 학교 제주어 교육 활성화 조례안’을 통과시켰다. 제주어 보존과 활성화를 위해서다.

최근 제주도에서도 제주어를 잘 사용하지 않는다. 제주어보전회에 따르면 도민의 1~2%만이 제주어를 제대로 쓴다. 이마저도 대부분 80대 이상의 노년층이다. 사실상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제주도 학생들도 올해 가장 주목받는 제주어가 된 ‘맨도롱 또똣’(기분 좋게 따뜻하다)을 TV 드라마 제목이라 된 후에야 알게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햅주’(~했지), ‘~이랑마랑(~는커녕), ~문(~면) 등을 즐겨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단어 활용 수준은 사실상 뭍의 학생들과 동등한 수준이다.

조례는 제주어 교육 활성화를 위해 제주도교육청이 각급 학교의 제주어 교육, 자료 개발, 교사 연수, 동아리 활동을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제주어교육주간’도 지정·운영하도록 했다. 교육이 본격화되면 제주관광의 키워드 ‘혼저옵서예’(어서 오세요)는 물론 ‘와리지 마이’(조바심 내지 마라), ‘속솜해이’(조용히 이야기해라)등 봐도 모르겠고, 들어도 못 알아챌 외국어 같은 제주어를 학교에서 배우게 된다.

제주어는 언어학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다른 지역에서 사라진 아래아(·) 등 훈민정음 창제 당시 한글의 고유한 형태가 남아 있어 ‘고어의 보고’로 불린다. 단순히 우리나라의 방언으로 보지 않고 ‘제주어’ 자체로 보는 관점도 있다. 제주대 국어국문학과 강영봉 명예교수는 “국어사와 방언학적으로 제주어는 방언을 넘어 하나의 새로운 언어로 볼 수 있다. 제주도는 한반도와 바다로 단절돼 옛말이 많이 남아있기 때문에 중국어를 북경어와 광동어를 나누 듯 따로 나눌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네스코(UNESCO)는 2010년 12월 제주어를 소멸위기 언어 5단계 중 4단계인 ‘심각한 소멸위기의 언어’로 등재했다. 유네스코 제주어를 한 나라의 방언(vernacular)을 넘어 고유 언어(language)로써 가치를 인정하고 보호해야 한다고 밝혔다.
제주도와 제주도교육청은 앞으로 ‘들엄시민(듣다 보면) 제주어’사업도 공동 추진키로 했다. 영·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교육현장· 가정에서 제주어 원음을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골자다.
제주=최충일 기자 choi.choongi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