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6개월 만의 한·일 정상회담 밥 같이 안 먹는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기사 이미지

3년6개월 만에 열리는 회담인데 같이 밥 먹는 일정도 없고, 공동 기자회견도 없다. 회담을 한다고 발표하는 날 “실질적인 성과를 기대하긴 쉽지 않다”(정부 당국자)는 말이 함께 나왔다. 한·일 정상회담 얘기다.

다음달 2일 서울서 열기로
아베는 공식 아닌 실무 방문
“위안부 문제 솔직 대화 희망”

청와대는 28일 박근혜(왼쪽 얼굴) 정부 들어 첫 한·일 정상회담이 다음달 2일 오전 서울에서 개최된다고 발표했다. 한·일 정상회담은 2012년 5월 당시 이명박 대통령과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 간에 열린 게 마지막이다.

 김규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박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오른쪽 얼굴) 일본 총리가 양국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라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등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 교환을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중앙아시아 순방을 마치고 28일 귀국한 아베 총리는 공항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박 대통령과 그런 과제를 포함해 솔직하게 의견 교환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일본 측이 요청한 정상 간 오찬 회동은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일부 보도와 달리 회담 시간은 30분이 아니라 "충분히 시간을 가질 것”(정부 관계자)이라고 한다.

 박 대통령은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와는 31일 한·중 정상회담 후 만찬 회동을 한다. 김 수석은 “아베 총리는 한·중·일 정상회의에 온 김에 정상회담을 하는 것이어서 오찬과 공동 기자회견이 없다”며 “리 총리는 공식 방문이어서 만찬이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외교부 측은 아베 총리는 실무방문(Working Visit), 리 총리는 공식방문(Official Visit)이란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일 양국은 위안부 문제를 의제로 삼느냐를 놓고 기싸움을 벌였다. 지난 26일 청와대가 “다음달 2일 정상회담을 하자고 제안했는데 답이 없다”고 발표하자 방한 중인 이시카네 기미히로(石兼公博)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은 “그런 적이 없다”(27일)고 했다. 하지만 일본이 위안부 문제의 의제화를 받아들이면서 돌파구가 열렸다. 한편 다음달 1일 오후에는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 리 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한·중·일 3국 정상회의가 열린다.

신용호·유지혜 기자 nova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