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미국이 이전 거부한 기술 자체 개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방위사업청이 미국의 핵심기술 이전 거부로 차질이 우려되는 한국형 전투기(KF-X) 사업의 4개 핵심 장비를 자체 개발하겠다고 5일 밝혔다. 또 이들 장비를 전투기에 장착해 활용할 수 있는 체계통합기술의 개발도 추진한다.

방사청, 한국형 전투기 대책 밝혀
“필요하면 해외지원 요청할 수도”

 한민구 국방부 장관과 방위사업청 관계자들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고 “능동전자주사(AESA) 레이더 개발 시기를 당초의 2020~2024년에서 2017~2021년으로 3년 앞당기겠다”며 “이를 위해 필요할 경우 외국 업체들에 기술 지원을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나머지 핵심 장비인 적외선탐색 추적장비(IRST), 전자광학 표적추적장비(EO TGP), 전자파 방해장비(RF 재머) 등도 자체 기술로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방사청에 따르면 AESA 레이더는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으로 LIG넥스원이 지난해 하반기 개발에 착수했다. 체계통합 기술도 국내 개발을 우선 추진하고 해외기술 지원도 받을 계획이다.

 방사청은 “KF-X 사업은 2014~2025년 약 8조1000억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되는 대형 국책사업으로, 공군의 전력 유지와 산업·기술적 파급효과를 감안할 때 중단 없이 반드시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지난해 미국의 록히드마틴으로부터 대당 1200억원에 F-35A 40대를 구매하면서 핵심기술 4가지와 나머지 기술 21가지의 이전을 요구했다. 하지만 지난 4월 미 정부는 자국 기술보호를 이유로 핵심기술 4개 이전을 거부했다. 록히드마틴과 경쟁했던 보잉과 유로파이터는 4개 핵심기술과 체계통합 기술 이전을 약속했었지만 탈락했다. 이에 따라 전투기 도입과정에서 방사청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됐다.

 청와대는 지난달 말 민정수석실에서 방사청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사업 추진 과정에 대한 진상조사를 시작했다. 이와 관련, 방사청은 “지난 4월 말 미 정부로부터 핵심기술 이전 거부 통보를 받고 5월 말 청와대에 보고했다”며 “핵심 기술 이전 무산을 즉각 공개하지 않은 것은 다른 업체와의 협상력을 높이고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또 “우선협상대상 업체와 협상 중이며 10월 중 협상을 마무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 국방장관은 “KF-X 개발사업단을 범정부 차원에서 구성해야 한다는 것에 전문성이나 책임감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점에서 동감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방사청에서 사업단을 분리할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최익재 기자 ijcho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