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첫 전경련 방문…"전경련의 남북경협 원칙 공감"

중앙일보

입력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8일 취임 후 처음으로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을 방문해 남북경제교류 활성화 방안과 관련한 정책 간담회를 열었다.

문 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최근 전경련이 제시한 남북경제교류 ‘신 5대원칙’과 이를 위한 7대 과제에 대해 깊이 공감한다”며 “북한을 더 이상 압박이나 혜택을 주는 대상 아니라 공동의 이익을 위해서 상호 협력해야할 파트너로 인정하는 변화된 인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경련의 인식은 제가 발표한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과도 맥을 같이 한다”며 “우리 경제의 살 길은 경제통일뿐이다. 이전과 같은 수출의존형 경제구조만으론 경제의 미래를 자신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표는 남북 경제협력의 중단 상황과 관련해 5ㆍ24조치의 유연화가 필요하다가 했다. 그는 “5ㆍ24조치로 타격을 입은 건 오히려 우리 기업들로, (5ㆍ24조치로 인해)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만 높아졌다”며 “5ㆍ24조치를 조속히 해제해야 한다는 게 당의 입장이지만, 당장 해제가 어렵다면 남북 경협과 민간교류가 가능하도록 적용을 유연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치와 군사적 문제가 경제협력의 발목을 잡는 것을 이제 끝내야 한다”며 “오히려 경제협력을 통해 정치ㆍ군사적 불확실성을 제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경련은 대기업이 중심이 된 민간경제종합단체다. 문 대표는 취임 직후인 지난 2월13일 대한상공회의소를 방문한 뒤 “필요하면 전경련이나 경총(한국경영자총협회)도 방문할 수 있다”고 했지만 지금까지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문 대표의 발언 이후 “지난 8·25 합의를 계기로 남북관계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며 “이제는 남북이 상호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경제중심 관계를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경제 관계가 깊어지면 정치·군사적 긴장이 있더라도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화답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전경련에서 허창수 회장, 이승철 상근부회장, 조건식 현대아산 사장, 문성환 삼양사 사장 등 경제계 대표가, 새정치연합에서는 문재인 대표, 이종걸 원내대표를 비롯 홍영표, 홍익표 의원 등 당 지도부가 참석했다.

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