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캠핑장 참변 … 이러고도 세계 캠핑대회 열 수 있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인천 글램핑장의 화재사고는 국내 캠핑장 안전 시스템의 취약성, 민간사업자들의 무신경 등 캠핑 문화의 미성숙함을 드러낸 사고였다. 캠핑장 안전사고의 위험성은 지속적으로 지적됐고, 이에 올 1월 캠핑시설 안전 문제를 규제하는 관광진흥법 개정시행령이 공포됐지만 현장의 ‘안전불감증’은 여전했다. 이번 화재는 텐트 안에 각종 생활편의시설을 갖춰 대여하는 글램핑 텐트에서 전기 누전으로 보이는 사고로 발생했다. 글램핑은 불에 약한 천막 안에 각종 전기 기구들이 들어가 있어 화재 발생 가능성이 크지만, 이에 대한 안전 규제가 취약한 틈을 타 민간업자들이 우후죽순으로 만드는 캠핑시설이다.

 국내 아웃도어 인구와 산업은 최근 몇 년 사이 관련 안전 규제가 뒤따라가지 못할 정도로 극적으로 성장했다. 국내 캠핑 인구는 올해 최대 30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고, 캠핑산업도 지난해 6000억원대로 2008년(700억원)보다 9배 가까이 늘었다. 그러나 관련 인프라와 산업의 영세성, 안전의식의 취약함 등으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했다. 지난해 기준 1800여 개의 캠핑장 중 등록된 시설은 230여 곳에 불과했고, 일부 영세 민간업자들은 상습 침수지구와 산사태 위험 지역에 캠핑장을 차려놓기도 했다. 1월 캠핑장 안전을 규제하는 시행령을 공포했지만 5월 31일까지 유예 기간이어서 여전히 불안한 봄을 맞고 있다.

 이번 사고로 당국이 야영장 전수조사를 실시하고는 있지만, 전문가들은 캠핑장 사고는 규제만으론 예방 및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캠핑은 자연과 벗 삼는 활동으로 거칠고 위험하며, 도심과 멀리 떨어져 있어 비상시 소방차나 구조대가 도착할 때까지 시간이 많이 걸린다. 캠핑족과 야영장 운영자들이 아웃도어 활동의 안전수칙과 비상시 대응 능력까지 완벽하게 익히는 캠핑 문화가 정착되는 것이 최우선이다. 올해 전북 완주에선 ‘세계 캠핑&카라바닝 대회’가 열리는 등 국내 캠핑 규모와 열기는 세계적 수준이다. 이에 걸맞은 높은 시민정신과 안전 시스템의 확충이 뒤따라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