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내기·송어잡이 상품이 되고, 두메산골은 명소가 됐다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405호 21면

제주 서귀포 가시리마을 주민이 천연재료를 이용해 염색 작업을 하고 있다. 이 마을은 문화·복지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사진 농림축산식품부]

서울 도심에서 동쪽으로 85㎞ 떨어진 경기도 양평군 여물리. 공식적으로는 수도권이지만 실제론 농사밖에 지을 게 없는 동네다.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곳이어서 상업시설 설치 규제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주민들에게 농사지을 땅이라곤 텃밭이 전부다. 다른 동네로 드나들 수 있는 길은 마을 남쪽에 있는 60m 길이의 여물교가 유일하다. 폭은 자동차 두 대가 겨우 지나갈 수 있을 정도다. 그래서 인구도 332명뿐인 작은 마을로 남아 있다. 2006년까지만 해도 이 마을 주민들의 가구당 소득은 연간 500만원에 그쳤다.

제1회 행복마을 만들기 콘테스트 수상 마을

가구당 소득 8년만에 3배 증가
사람이 적고 외부와의 접촉이 많지 않은 만큼 자연경관은 그대로 보존됐다. 25개의 골짜기와 마을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여물천이 그것이다. 2009년 고향인 여물리로 귀농한 김미혜(52)씨는 이를 마을의 장점으로 살리기로 했다. 도시와 가까운 곳에서 자연경관을 즐기고 싶어 하는 서울사람들을 끌어들이기로 한 것이다. 김씨의 기획으로 마을에선 농촌체험과 주말농장 사업이 시작됐다. 모내기(봄)·송어잡기(여름)·김장체험(가을)·썰매타기(겨울)처럼 계절마다 프로그램을 달리해 관광객을 불러모은다. 이와 함께 5~10가지 농산물을 상자에 담아 배달해 주는 ‘꾸러미’ 사업을 운영하고, 직거래 장터와 캠핑장도 생겼다. 이 같은 노력으로 마을 가구당 소득은 올해 1800만원으로 올랐다. 8년 만에 세 배 넘게 소득이 증가한 것이다. 마을 출신 학생을 위한 장학금도 1억원을 조성해 놨다. 공익성 여물리장은 “귀촌인들이 갖고 있는 재능으로 살려 낸 마을”이라며 “외국인 관광객을 상대로 한 농촌문화체험 프로그램도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성과를 낸 여물리마을이 최근 열린 농림축산식품부·중앙일보 공동 주최 ‘제1회 행복마을 만들기 콘테스트’에서 소득·체험 분야 1위를 차지했다. 행복마을 콘테스트는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마을을 활성화한 성공 스토리를 뽐내는 공모전이다.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어야 농촌이 발전할 수 있다는 뜻에서 ‘함께 만들어요, 행복한 우리 마을’이라는 구호로 첫 대회를 열었다. 이동필 농식품부 장관은 “정부는 일률적으로 돈을 나눠 주고, 농촌에선 중앙정부만 쳐다보는 종전 방식의 하향식 투자로는 인구 감소, 고령화라는 농촌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풀 수 없다”며 “근면·자조·협동정신으로 어려움을 극복했던 우리의 경험으로 농촌을 재도약시켜 보자는 뜻”이라고 대회 취지를 설명했다. 콘테스트는 여물리마을이 1등을 차지한 ‘소득·체험’ 분야를 비롯해 ‘경관·환경’ ‘문화·복지’ 등 3개 분야에서 열렸는데 충북 옥천군의 안터마을과 제주도 서귀포시 가시리마을이 각각 1위에 올랐다. 이 마을은 3000만원씩 발전 지원금을 받게 된다. 이런 식으로 마을 간 발전 경쟁을 촉진하고, 성공 비결을 공유하자는 게 대회의 목적이다. 9월 지역 예선부터 시작한 이번 콘테스트에 참가한 마을은 1891곳이다.

반딧불이 살리려 농약도 안 써
충북 옥천군 동이면 안터마을은 35년 전 대청호가 생기면서 농사지을 땅이 거의 다 물에 잠긴 곳이다. 농사를 지을 곳이 마땅치 않아 원주민들은 그동안 마을을 떠났고, 주민들이 어려움을 호소할 때면 “대청호가 없어졌으면 좋겠다”는 말이 절로 나왔다. 어린이의 웃음이 없어졌고, 주민들은 가난함 속에서 고스톱을 치고 막걸리를 마시며 시간을 보내는 마을이 됐다. 그런데 2007년 마을에서 반딧불이가 발견되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반딧불이를 볼 수 없는 도시 사람들을 불러 관광지로 만들 수 있겠다는 생각이 싹튼 것이다. 주민들은 더 많은 반딧불이가 살도록 하기 위해 농약을 쓰지 않고 화학비료를 줄였다. 가로등 불빛도 밝기를 낮췄고, 비포장도로는 그대로 흙에 덮인 상태로 놔뒀다. 그 결과 반딧불이가 늘어났고 맹꽁이 소리도 들리기 시작했다. 소문을 듣고 찾아오는 관광객이 하나둘 늘면서 2009년부터는 반딧불이 축제를 열고 관광객을 불러모으고 있다. 대청호 때문에 먹고 살기 힘들었던 마을이 이제는 대청호의 혜택으로 살아난 마을이 된 것이다. 2008년 50가구에 131명이 살던 이 마을 인구는 올해 182명(72가구)으로 늘었다. 이 마을 이성균 이장은 “반딧불이를 보며 걸을 수 있는 ‘숲 속 체험 길’은 주민들 스스로 일궈 낸 공간이어서 그 자부심이 대단하다”고 말했다.

제주국제공항에서 남동쪽으로 40㎞ 거리에 있는 서귀포 가시리마을은 도시와의 단절과 ‘외진 곳에 산다’는 인식 때문에 주민들이 자신감을 잃어가던 곳이다. 그러다가 “마을을 이렇게 놔둬선 안 되겠다”는 의견이 주민들 사이에서 나왔다. 마을개발위원회를 만든 2009년 첫해에만 23번의 회의를 열었다. 그러면서 ‘유채꽃 마을 만들기 추진위원회’도 세워 주민들이 참여하는 조직을 만들어 사업을 시작했다. 그 결과물이 유채꽃단지·목공방·창작지원센터·조랑말박물관이다. 그 성과를 인정받아 2012년엔 ‘대한민국 경관대상’도 받았다. 올해 인구는 1160명(485가구)으로 다른 분야 1위 마을보다 많다. 김영일 가시리마을 위원장은 “주민들의 힘으로 박물관까지 만든 마을은 전국에서 유일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최선욱 기자 isotop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