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십센치 "우리가 가장 잘 하는 치기어린 사운드로 돌아왔다"

중앙일보

입력

‘아메리카노’ ‘사랑은 은하수 다방에서’ 등으로 홍대 인디 음악판의 부흥을 이끌었던 어쿠스틱 듀오 ‘십센치’가 3집 ‘3.0’을 발표했다. 18일 서울 대학로 해피씨어터에서 열린 쇼케이스에서 권정열(31ㆍ보컬, 젬베)과 윤철종(32ㆍ기타, 코러스)은 “우리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치기 어린 사운드로 돌아왔다"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3집에서 가장 달라진 게 있다면?
윤 : 우선 외모죠. 소속사가 생기면서 케어를 받고 있으니까요. 저희 스스로도 관리가 필요해서 운동하고 있고요.
권 : 음악을 하는 자세가 변했어요. 1집이 대중성과 우리만의 인디 정신을 함께 담으려고 했다면 2집은 어릴 적 좋아했던 절제된 빈티지 음악을 추구했거든요. 3집은 2집이랑 또 달라요. 어느날 돌이켜보니 저희 같은 어쿠스틱한 밴드가 한 팀도 없더라고요. 그러면 우리가 ‘짱’이라는 건데, 우리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음악을 하자고 마음을 바꿨죠. 사운드도 변했어요. 드럼이 아예 없습니다. 정말 나이브한 사운드인 것 같아요. 대신 어쿠스틱 악기를 가지고 다양한 장르를 시도해보려고 했어요.

-다시 예전으로 회귀한 느낌인데요. 식상하다는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없나요?
권 : 이번엔 다 내려놓으려고 했어요. 음악가로서 인정받는 건 내려놓고, 그냥 우리가 제일 좋아하고, 잘하는 음악을 하자는 생각이었어요. 치기 어린 사운드이기도 해요. 하지만 정말 즐겼어요. 3집에 대한 뿌듯함과 자부심은 어느 앨범보다 큽니다.

-타이틀곡 ‘그리워라’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권 : 이중성이 있는 노래에요. 그래서 타이틀곡이 됐는데요. 보통 기타, 퍼커션 위주의 잔잔한 발라드는 리듬이 굉장히 편안한 편인데, 이 노래는 그렇지 않아요. 리듬을 자세히 들어보면 설렘이 있습니다. 발라드인데 약간 신나기도 하고요. 옛 연인에 대한 애틋한 감정을 떠올리면서 과거를 추억하는 건데, ‘그리워라’와 여음구 ‘랄랄라’가 합쳐져서 ‘그리워랄랄라’가 됐어요. 문학적이죠.

-앨범마다 섹스에 대한 이야기가 많아요. 3집은 어떤가요?
권 : 사실 대중이 좋아하는 가사를 잘 몰라요. 그냥 나오는대로 쓰는 편인데, 어른스런 이야기가 많은 이유는 어른이기 때문이죠. 제 머릿속은 거의 95% 섹스 생각밖에 없거든요. 그래서 자연스럽게 나오는 거에요. 사실 3집은 표현이 잘 안 됐어요. 저희 생활이 생각보다 건조해요. 경험적인 소스가 떨어졌어요. 야한 가사가 잘 안나오네요.

-‘19금 앨범’을 발표할 계획은 없나요?
권 : 앨범 작업을 할 때마다 성인만을 위한 음악을 해보자는 얘기가 나오는데 방송도 있고 쉽지가 않더라고요. 그래서 매번 엎어져요.
-새 앨범엔 철종씨의 보컬이 자주 등장합니다.
윤 : 원래 다른 분께 피처링을 부탁하려고 제가 가이드를 녹음했는데 멤버들이 제 목소리가 더 괜찮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하게 됐어요.
권 : 철종이 형의 보컬은 저랑 묻었을 때 굉장히 매력적이에요. 제 목소리가 느끼하고 능수능란하다면 형의 보컬은 그렇지 않잖아요. 치기 어린 감성과 잘 맞죠. ‘담배왕 스모킹’을 들어보시면 형이 메탈 록의 모든 기술을 구현하고 있어요. 그롤링, 초고음 샤우팅 같은거요.

-이번 앨범으로 이루고 싶은 목표가 있나요?
권 : 글쎄요. 좋은 차 타고 좋은 옷 입는 건 다 해봤고요. 큰 성공은 모르겠고, 우리만의 포지션을 찾았으면 좋겠어요. 한국 음악 역사에 족적을 남기고 싶어요. 이번 앨범이 아니라도 언젠가 그럴 수 있을 것 같아요. 십센치의 어쿠스틱 음악은 결핍되어 있고 뭔가를 갈구하고 열망하거든요. 그게 저희의 힘이죠.
윤 : 어느 정도 자본이 있어야 앨범을 계속 만들 수 있어요. 앞으로 그런 걱정 없이 계속 음악을 하고 싶어요.

-지금 음원차트는 ‘토이’가 휩쓸고 있어요.
권 : 저희가 유희열 형이 진행하는 라디오천국을 1년 반 넘게 출연하면서 아버지와 아들같은 관계가 됐어요. 올해엔 토이 앨범이 안나올 것 같다고 해서 안심했는데, 어제 들어보니까 정말 좋더라고요. 아버지가 차트 1위를 하고 아들이 2위를 하는 그림이라면 아름답지 않을까요?
윤 : 자식 이기는 부모 없다고 하지 않았나요?(웃음)

김효은 기자 hyoe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