엎치락 뒤치락…8년 산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제2제철입지는 8년의 산고 끝에 광양만으로 낙착됐다.
지난 74년 입지 선정에 착수한 이래「정부입장의 확정」은 이번이 3번째.
79년 고 박정희대통령 당시 아산만이 입지로 확정됐었고 지난 국보위 때에도 이같은 방침이 추인된바 있다.
건설부는 제2제철을 아산만과 광양만 어느 곳에 건설해도 소요비용의 차이가 근소하고 입지조건의 장단점이 유사하여 정책적 차원에서 광양만을 선택했다고 밝혔다.
『정책적 차원』이란 ▲호남을 포함한 국토의 균형개발 ▲안보적차원 ▲수도권 인구 억제 등을 말한다.
정부에서 제2제철건설계획을 구상한 것은 포철이 완공된 이듬해인 74년.
당시 장예준건설부장관은 입지후보지로 아산만·광양만·낙동강하구 등 3곳을 지목했다. 일본의 미쓰비시가 광양만을, 미쓰이가 낙동강하구와 아산만에 대한 기초조사를 했다.
이같은 기초조사를 토대로 중화학공업기획단 (해체됨)이 미국의 유에스스틸에 용역을 준결과 아산만이 최적지라는 결론까지 나왔었다.
그러나 이듬해 다시 거론된 것은 아산만과 경북영해였으나 이때도 영해는 용수공급부족으로 탈락됐고 아산만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3차로 등장한 것이 아산만옆 충남의 가로림만.
현대건설·동아건설·대림산업 등이 타당성 조사에 참여했으나 결론은 역시 아산만이었다.
우여곡절 속에 광양만으로 입지가 뒤집어지기까지에는 실수요자인 포철의 끈질긴 요청과 호남출신유지들의 로비활동이 적잖이 작용됐다. 특히 호남에도 공장다운 공장을 세워달라는 지역주민들의 요청을 많이 배려했을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제2제철 입지가 확정됨으로써 뒤처리문제가 남아있다.
건설부는 아산만을 항만개발지와 새로운 지방공단으로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정부는 제2제철입지를 전제로 지난 79년12월 아산만 일대 3억평의 땅을 산업기지개발구역으로 지정 고시했다. 이에 따라「구역」내에서는 토지의 형질변경 등이 일체금지되어 토지의 사적거래가 사실상 봉쇄되어 있다. 재산권행사에 큰 제약이 있는 것이다.
장래 항구·지방공단으로 개발할 지역을 조속히 결점하고 여타의 사유지에 대해서는 풀어주어야 할 것이다.
또 광양만은 국내근해에서 가장 오염 안된 곳이어서 제2제철건설과 함께 공해대책도 빈틈없어야 할 것이다.
광양만에서 생산되는 굴은 미국의 FDA (미연방식품 위생검사소)에서 무공해 식품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공해산업인 제철소가 들어섬으로써 분진·폐수·아황산가스·질산화물 등 배출될 공해대책을 철저히 세워야 될 것이라는 것이 수산업계의 의견이다.<박병석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