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일 명고옥과 경합, 시설은 우리가 층실|공산·중립국 위원이 ⅓…정치색 우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88년도 하계올림픽의 개최지 결정은 오는3O일 서독 바덴바덴시에서 열리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총회에서 이뤄진다.
일본의 나고야와 함께 서울시가 유치경쟁에 나선 것은 한국 스포츠사에 획기적인 빅이슈이며 국가적인 관심사이기도 하다.
올림픽을 한국에서 개최하는 경우 이것은 정치·경제·외교·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한국이 세계로 도약하는데 큰 전환점이 되리라는 것이 명백한 예측이며 이 때문에 사회각계가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세계인의 제전인 올림픽을 서울에서 개최할 경우 한국은 공산권을 망라하여 문호를 완전 개방, 한국과 북한을 포함한 공산권의 새로운 차원으로 진입하는 계기를 만들 수도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전망이다.
IOC총회에 참석할 IOC위원은 모두 82명. 단순 과반수 득표에 의해 개최지가 결정되는데 IOC위원은 북미·유럽이 38명, 중남미14, 아프리카14, 아시아14, 오세아니아 2명이며 그중 공산국가위원이 11명(동구8, 북한·몽고·쿠바 각1명씩), 중립국위원이 15명(아프리카11, 아시아4 명)이다.
따라서 정치적 관념이 상당히 작용될 투표에서 한국은 일본에 비해 근본적으로 매우 불리한 입장이다.
공산권과 중립국의 상당수위원들이 일본으로 기울어질 것이 뻔한 이치이고 또 이미 2년전부터 치밀한 외교노력을 기울인 일본이 섭외활동에서 한국보다 한 걸음 앞서고 있으므로 뒤늦게 최근에야 본격적인 유치운동을 전개한 한국의 열세는 명백하다.
다만 올해 들어 IOC위원들의 나고야와 서울순방결과 교통·운동장 시설 등 제반 여건에서 서울이 훨씬 우수하다는 보고가 잇따라 대세에 상당한 변화가 이뤄지고 있어 전망이 결코 비관적인 것만은 아니다.
또 나고야와 경우 다수의 시민들이 「고도의 파괴」를 우려, 조직적이고 적극적인 유치반대운동을 벌이고 있어 상대적으로 서울에 유리한 요소로 작용되고 있다. 이에 비해 서울올림픽은 전 국민의 열망 속에 거국적인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는 것이 대조적이며 더구나 일본에선 이미 하계(동경)·동계(삿뽀로)올림픽이 각각 한번씩 개최된 적이 있기 때문에 올림픽의 보편화 방침을 추구한다면 서울이 유리해 지는 것이다.
서울은 잠실 종합운동장이 84년에 완공되는 등 85년까지는 모든 시설이 완비되며 22억달러 규모의 모든 경비를 민자와 국비·시비 등으로 이미 확보, 개최에 만전을 기하고있다.
따라서 분단국과 개발도상국이라는 특이한 조건의 한국이 올림픽개최를 신청한 것은 국제적으로 많은 호응을 받을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박군배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