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운동은 민족주의·민주주의 위대한 유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6·3 민주화운동 50주년을 앞두고 2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6·3 민주화운동의 회고와 향후 과제’를 주제로 한 학술회의가 열렸다. 왼쪽부터 김원기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 이홍구 전 국무총리, 민병석 전 체코 대사, 이부영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 [사진 6·3 민주화운동 50주년 기념 학술회의 준비위원회]

6·3 민주화운동 반세기를 맞아 당시 운동에 참여했던 주역들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6·3 민주화운동 50주년을 일주일 앞둔 27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6·3 민주화운동의 회고와 향후 과제’를 주제로 50주년 기념 학술회의가 열렸다.

1964년 일어난 6·3 민주화운동은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굴욕적인 한·일 국교 정상화에 반대하던 학생들을 중심으로 촉발된 운동이다.

이날 학술회의장에는 이홍구 전 국무총리를 비롯해 새정치민주연합의 김원기·이부영 상임고문, 박석무 다산연구소 이사장, 정정길 전 대통령실장, 김덕룡 국민동행 공동대표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축사를 맡은 이홍구 전 총리는 “6·3 운동이 제기한 ‘민주주의와 민족의 정통성을 어떻게 지켜나가야 하는가’ 하는 문제는 아직도 대화의 주제”라면서 “그런 사명을 완수할 정치체제를 만들어나가는 게 앞으로의 과제”라고 말했다.

 기조연설에서 김도현 전 문체부 차관도 “6·3 민주화운동을 민족주의와 민주주의를 한국에 정착시키려는 노력”으로 평가하면서 향후 동북아 평화와 남북통일을 지향하고 ‘경제민주화’를 통해 개발독재의 부(富)를 청산할 것을 과제로 제시했다. 이후 윤영오 국민대 명예교수의 사회로 ‘6·3 운동이 한국의 민주주의와 한·일관계 등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논문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참가자들은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 사회가 민주화의 진전과 경제 발전을 이뤘지만 요동치는 국제정세로 인해 도전을 맞이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일협정 재협상 국민행동 상임대표를 맡고 있는 이부영 고문은 토론에서 독도 영유권 수호 등을 해결하기 위해 재협상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날 6·3 민주화운동을 지켜봤던 이들의 회고도 이어졌다. 당시 언론사 기자로 있으면서 운동에 참가한 학생들을 취재했던 김원기 전 국회의장은 “6·3 민주화운동을 4·19 혁명, 5·18 민주화운동, 6·10 항쟁과 더불어 우리 헌정사의 네 축의 하나로 생각한다”면서 “일본과의 관계가 뜨거운 감자인데 학술회의에서 꼬인 한·일관계를 풀어나갈 좋은 지혜를 찾길 바란다”고 전했다. 65년 당시 서울대 총학생회장이었던 최희조 세종대 석좌교수 등도 토론자로 참여했다.  

위문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