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용 떼어주는 일자리 그만 … 스스로 만들어 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6074세대는 이전의 노년층과는 다르다. 건강한 데다 높은 학력과 전문성까지 갖췄다. 내년부터는 1차 베이비부머(1955~63년생)도 이 세대로 넘어간다. 자그마치 714만 명이다. 현재의 노인 일자리는 양이나 질적으로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박용주(사진) 한국노인인력개발원장은 “노인에게 떼어주는 일자리가 아니라 노인 스스로 만들어내는 일자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박 원장과의 문답.

 - 6074가 일자리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나.

 “지금의 60~70대는 과거의 40~50대로 봐야 한다. 숙련도는 물론 태도가 월등히 앞선다. 능력의 문제가 아니라 인식의 문제다. ‘시니어 인턴십’에 참가한 기업은 만족도가 높다. 60세 이상을 인턴으로 채용하면 정부가 3개월간 임금을 지원하는데, 지원이 끊긴 후에도 계속 고용을 유지하는 비율이 30% 정도 된다.”

 - 기업 등 민간 영역에서 노인 일자리는 얼마나 되나.

 “약 1만 개로 아직 소수다. 나머지 90%는 정부가 제공하는 공공형 일자리다. 1인당 월 20만원 내외로 보수가 적다. 하지만 청소나 경비 등 과거 단순 업무 중심에서 다양화, 전문화하고 있다. 공공형 일자리가 발전하면 민간 영역에서 다른 기업과 경쟁하거나 협업할 수도 있다.”

 - 실제 그런 경우가 있나.

 “CJ대한통운이 부산에 세운 ‘실버종합물류’가 좋은 예다. 배송 거점을 경로당이나 주민자치센터 등에 두고 노인들이 8개 택배회사에서 한꺼번에 받아 배달한다. 택배회사는 아파트를 일일이 찾아가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 노인 일자리는 결국 비슷비슷하지 않은가.

 “시장형 노인 일자리 개발은 이제 초기 단계다. 다양한 분야에서 노인의 특성에 맞는 일자리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컨설팅을 강화할 예정이다. 최근에도 농촌 지역에서 로컬 푸드 직거래 사업 등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고령자친화기업은 어떤 건가.

 “민간기업에서 노인의 일자리를 확대해보자는 취지다. 근로자의 70%가 60세 이상이면 고령자친화기업으로 인증받을 수 있다. 2013년까지 44개가 나왔다. 올해부터는 기준을 50%로 낮췄다. 노인과 청년이 함께 일하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노인 일자리 정보는 어디에서 얻어야 하나.

 “일자리 기회를 잘 알리는 게 일자리를 개발하고 발굴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하다. 올해 하반기에는 공공형·시장형 일자리 정보를 통합한 노인 일자리 전문 포털사이트를 운영할 계획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