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련의 새 방향모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대한교련의 대 정부 활동에 대한 전국15만 회원의 불만이 표면화하고 있다.
이들은 72년도 정부예산안에 그들의 처우개선을 위해 교련이 요구했던 5억 원이 한마디 해명도 없이 묵살되자 30일에는 시-도 교육회장대회를 열고「압력단체로서의 교련」으로 혁신적 행동방향을 모색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5만이란 회원을 갖고 대학졸업이상의 지식인인 회원이 전국 3만여 개 자연부락에 아니 들어가 박힌 곳이 없으며 그들이 미치는 영향은 7백60만 학생을 통하여 전국민의 번영과 발전을 좌우할 수 있다』(「약진교련」제2호)고 자부하는 교련이 한편으론「기동성 없는 거인」, 마비된「매머드」, 어용단체 등의 막지를 받아온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비난은 교권침해사건이나 교육문제가 나올 때마다 면할 수가 없었다.
지난5월 교련문제로 대학가에 회오리바람이 불때는 태연히 방관만 하던 교련이 지난7월 부정사건에 관련된 3명의 교장이 문교부에 의해 파면될 때는 그 구명운동에 발벗고 나섰던 것이다.
이 같은 교련의 「무골 성」에 대해 교육계에서는 그 원인을『교련이 문교부의 청탁이나 받는 이재단체로 몰락하여, 교권옹호와 교직의 전문성유지라는 고유기능을 망각했기 때문』 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초·중등의 방학 책 판권은 교련수익의 대종을 이루고 있으며, 중소납품업자들로부터 획득한 시청각교재 공급 권은 교육의 현대화란 본래 명분에서 벗어나 수지타산만 맞추고 있으며, 71년도 최대의 쟁취사업으로 내건 대한교원공제회 역시 비과세법인체로 발족되면서 몇 교련직원의 새로운 직장으로 자리를 굳혔다. 그런데 이들이 모두 정책수립과정에서 교련이 압력을 가해야할 문교부의「선심」으로 벌이고 있는 사업들이다.
그러나 더 근본적인 문제는 지도성의 결핍에서 찾아야한다는 것이 교련관계자들의 말이다. 비슷한 여건 하에서도 63년2월l3일에는 교육자치제실시 촉구 전국교육자대회를 열었고 61년 1월26일에는 교원법정수당지급·궐기대회 및 시위운동을 벌인 일이 있었다
회원들이 회장단을 중심으로 일체감을 갖고 단결된 힘을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지난, 선거 때만해도 회장단을 비롯한 사무국 고위간부들은 여당의 전국구지명에만 눈독을 들이고 정책 대안을 제시해야할 중요한 시기에 교직단체운동은 안중에도 없는 태도를 나타내 당사자들의 빈축을 사기도 했으며, 회원들로부터는 지탄의 대상이 됐다.
그래서 교련주변에서는 오는 11월 29차 전국대의원대회에서 새로 뽑을, 회장에 전에 없는 기대를 걸고 있다. 자기의 이해관계를 초월하여 교육운동을「리드」해갈 수 있고, 소신과 덕망을 겸비한 교육계의 원로가 나와야한다는 것이다. 64년까지만 해도 추대형식으로 옹립하던 회장직이 근래에 와서 불투명한 외부세력과 금력공세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한 회원은 이런 요인에 의해 당선된 회장이 어떻게 강력한「리더십」을 발휘하면서 대 정부 활동을 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한다.
이 같은 회원들의 생각은 여름방학동안 상당히 성숙하여「회장추대고문위원회」(가칭)같은 기구의. 구성을 요구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 위원회는 교련의 역대회장을 역임한 인사가운데 작고한 최규동(초대), 조동식(6대) 양씨를 제외한 오천석 박사(2대), 최규남 박사 (3·4대), 백낙준 박사(5대), 유진오 박사(7·8대), 임영신 박사(현) 등 5인으로 구성하여 만장일치의 추천을 받은 사람을 대의원회에서 추대하자는 것이다.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서울대 교육대학원 김영식 박사는『구심점을 잃은 교련이 제대로 중간집단의 구실을 하기 위해서는 혁신해야 할 제도적 모순이 많지만 우선 회장단과 회원간의 이념적 일체감이 시급하다』면서 교련을 자기 개인적 이익의 수단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적어도 회장단에서 배제되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순용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