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그러나 난 부끄럽다"…아프리카 먹여살려 칭송 받은 그의 후회 [안혜리의 인생]

    "그러나 난 부끄럽다"…아프리카 먹여살려 칭송 받은 그의 후회 [안혜리의 인생]

    지난 3월 4일 경기도 광교 한상기 박사 자택을 찾았다. [사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우리는 아프리카를 모른다. 구호단체 모금 영상 속 기아·질병에 시달리는 아프리카 어린이의 이미

    중앙일보

    2024.03.27 00:32

  • “전두환, 끝내 사과 안했다” 서빙고 분실서 JP의 오열 (83)

    “전두환, 끝내 사과 안했다” 서빙고 분실서 JP의 오열 (83) 유료 전용

    보안사 서빙고 분실에 갇혀 있던 46일 동안 눈물을 흘린 적이 있다. 1980년 6월 18일 계엄사가 발표한 부정축재 조사 결과를 수사관으로부터 전해 들었을 때였다. 내가 216

    중앙일보

    2024.01.30 15:43

  • [예영준 논설위원이 간다] “내 편만 보지 말고 미래를 내다보는 지도자가 그립다”

    [예영준 논설위원이 간다] “내 편만 보지 말고 미래를 내다보는 지도자가 그립다”

     ━  원자력 1세대 이창건 박사의 충언   1세대 원자력 공학자인 이창건 박사가 1959년에 발행된 초등학교 보충교재 ‘원자력 공부’를 보이고 있다. 머릿말에는 “원자력은 잘못

    중앙일보

    2021.02.03 00:29

  • [남기고 싶은 이야기] ‘물리학 신동, 행정대학원 수석’ 기사에 이승만 “장학금 줘 유학 보내라”

    [남기고 싶은 이야기] ‘물리학 신동, 행정대학원 수석’ 기사에 이승만 “장학금 줘 유학 보내라”

    김법린 초대 원자력 원장과의 깊은 인연을 말하려면 우선 20대 시절의 고뇌부터 먼저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 서로 떼려야 뗄 수 없기 때문이다. 나는 1959년 초 서울대 물리학과

    중앙일보

    2018.10.04 01:00

  • 영어 입문 반 년 만에 좔좔10대 때 과거 보던 선비

    고종 밀서 품고 미국 루스벨트 만나…대통령 된 뒤 영어 능통자를 관료로 돈암장 살 때 서정주 앞에서 부인 프란체스카에게 "나가!"호통 첫 부인 박승선, 이승만 투옥되자 덕수궁 앞

    중앙일보

    2010.03.19 15:16

  • 개성서 개교한 '송도고' 인천 송도서 100년 맞이

    개성서 개교한 '송도고' 인천 송도서 100년 맞이

    구한말 개성에서 문을 연 송도(松都)고교가 다음달 3일 인천에서 개교 100년을 맞는다. 일제하 초가집 교사에서 시작해 한국전쟁으로 인한 휴교를 거쳐 인천 송도에 자리 잡은 이 학

    중앙일보

    2006.09.29 05:00

  • [클릭] 눈동자가 ID다

    안녕하세요. 클릭아줌마예요. 이번 주 커버기사에서 여러분을 첨단 보안기술과 제품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정보화 시대는 정보가 가치를 가지는 세상을 말합니다. 이런 사회에서 정보가 새

    중앙일보

    2003.03.04 17:24

  • 1927년 渡美… 청소부하며 학위 6·25때 한국물리학회 창설

    올해는 한국물리학회가 창립된 지 50주년이 되는 해다. 전공 서적이나 학술저널조차 구하기 힘들었던 한국전쟁 시절 34명의 회원으로 시작한 한국물리학회는 현재 7천5백명이 넘는 회

    중앙일보

    2002.04.25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오프 더 레코드(32)

    32. 林炳稷대사의 부탁 나는 1952년 켄트주립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영국 옥스퍼드 대학에 입학을 타진했다. 어린 시절 아버지로부터 귀가 닳도록 옥스퍼드 얘기를 들은 데다

    중앙일보

    1999.09.28 00:00

  • 역대 총장

    서울대 총장은 「한국지성의 상징」으로 통한다. 19대 김종운(金鍾云)現총장에 이르기까지 역대총장의 평균임기는 2년6개월.4년임기를 모두 채운 사람은 최규남(崔奎南.5대).윤일선(尹

    중앙일보

    1995.02.20 00:00

  • 한국물리학회 창립 40주년-물리학의 새 방향 모색

    올해로 창립 40주년을 맞은 한국물리학회(회장 이주천 한국과학기술원 교수)는 22∼25일 서울대 문화관에서 창립이래 최대규모의 국제심포지엄(PHYSTECH 서울92)을 갖는다. 한

    중앙일보

    1992.10.12 00:00

  • 최규남 박사 빈소 조문

    노태우 대통령은 28일 전 서울대총장과 문교부장관을 지낸 고 최규남 박사 빈소에 관계비서관을 보내 조의를 표하고 가족을 위로.

    중앙일보

    1992.04.29 00:00

  • 전 문교부장관 최규남박사 별세

    문교부장관(5대)·서울대총장(5대) 등을 역임한 학술원회원 최규남 박사가 27일 오전 5시 서울 청파동 3가 119의 5 자택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94세. 유족으로는 장남 영준

    중앙일보

    1992.04.27 00:00

  • 서울대 총장|한때 시국 따라 부침…「총장 중의 총장」

    국립 서울대학교의 초대 총장은 법학 박사인 미군 해리B 앤스테드 대위였다. 당시 임명권은 미군정 장관에게 있었던 만큼 당연한 인사였다. 그러나 한국 지성의 요람인 서울대의 초대 수

    중앙일보

    1991.07.19 00:00

  • (10)JP "수사중 잠안재워 고통"

    국군보안사령부 S분실-. 일찌기 그 이름이 널리 알려진 이곳은 10·26후 계엄사 합동수사단이 자리하면서 초특급 뉴스의 산실이 되었다. 박정희대통령 시해범 김재규중앙정보부장과 12

    중앙일보

    1988.05.19 00:00

  • 채선섭 여사 별세

    전이화대 음대학장이며 원로성악가인 채선섭 여사가 13일 낮12시10분 서울 청파동3가119의5 자택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76세. 고인은 1931년 이화전문 음악과를 졸업한 이후

    중앙일보

    1987.03.14 00:00

  • 대한민국 과학기술상 선정

    과학기술처는 19일 제19회 대한민국 과학기술상(대통령상·상금 5백 만원) 4개 부문 수상자 4명을 발표했다. 과학상에는 박영호 박사(56·부산 수산대학장)가, 기술상에는 김선홍씨

    중앙일보

    1986.04.19 00:00

  • 사회·교양

    KBS제2TV『11시에만납시다』(26일 밤11시)=「나의 학문 나의 인생,최규남」.19세기말, 격동의 대한제국시대에 태어나 물리학을 전공하고 서울대에서 교수·총장등을역임하다가 문교

    중앙일보

    1985.12.26 00:00

  • 서울대학교 총장이라는 자리|17명 째… 39년 동안의 영욕

    국립서울대학교총장. 학원상황이 어수선한 가운데 박봉식 박사가 22일 17번째 그 자리에B앉았다. 지난46년 개교이후 39년 동안 16명이 그 자리를 거쳐갔다. 최고의 지성을 대표하

    중앙일보

    1985.07.23 00:00

  • (4317)제 82화 출판의 길 40년(70)

    유네스코는 아시아지역의 도서개발계획을 작성하고 1966년 동경회의를 개최했다. 여기에 나는 당시 출협의 한만년부회장 (일호각대표)과 유익위이사(범문사대표)대표로 파견했다. 이 동경

    중앙일보

    1985.07.23 00:00

  • 80대가 말하는 나의 인생 나의 건강|최규남 박사

    『세상은 어차피 어려운 것, 어려운 일 걱정 말고 불안해하는 마음을 오히려 경계하시오. 마음을 다스리면 건강 장수할 수 있습니다.』 6·25사변 등 격동기에 문교부장관과 서울대총장

    중앙일보

    1985.04.20 00:00

  • 호암미술관의「맥아더」동상 만든 조각가 김경승씨

    호암미술관 앞뜰에 새로 세운「맥아더」장군 동상의 제작자 김경승씨(70·예술원정회원) 를 찾았다. -「맥아더」장군을 어떤 인물로 빚으셨읍니까? 『지혜와 용맹을 겸비한 덕장으로 만들었

    중앙일보

    1984.08.18 00:00

  • 배재대학 학장에 취임

    ◇김용우 신임 배재대학장(사진·전 대한적십자총재)의 취임식이 17일 대전에 있는 동교 교정에서 백악준·최규남 박사, 「프란체스카」여사 등 내빈과 교직원·학생 등 3백여명이 참석한

    중앙일보

    1982.09.18 00:00

  • 한국물리학회|학술지 및『일반물리학실험』발간

    한국물리학회가 창립된 것은 6·25가 거의 끝날 무렵인 1952년 12월. 당시 부산에 있던 서울대 임시교사에서 최규남 권영대·박철재(고인)·지창렬·한준탁·조정탁·윤세원·조병하·안

    중앙일보

    1977.09.2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