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안보리 회부 반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북한 핵문제를 유엔 안보리에 공식 회부하는 결의문을 채택한 데 대해 한반도 주변 주요국들은 서로 다른 반응을 보였다.

1993년 북핵 관련 결의안 채택 표결에서 반대표를 던졌던 중국이 이번엔 찬성표를 던진 반면 10년 전 찬성했던 러시아는 이번에 기권을 통해 사실상 반대의사를 표명해 대조를 보였다.

중국의 찬성표에 대해 현지 외교가에선 "지정학적으로 북한에 인접한 중국이 북한의 핵무기만큼은 절대 용납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라면서 "중국이 이젠 더 이상 국제사회의 큰 흐름을 거스르기 힘들 정도로 국제사회에 깊이 편입됐다는 증거"라고 해석했다.

장치웨(章啓月) 외교부 대변인은 13일 회견에서 "북한 핵문제를 IAEA가 유엔 안보리에 회부하는 데 중국이 찬성표를 던진 것은 이 문제를 평화.외교적으로 해결하자는 우리의 취지와 어긋나는 것이 아니다"면서 "안보리에 회부하는 것은 보고를 위해서지 북한 핵문제를 처리하자는 뜻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러시아의 기권에 대해서도 해석이 분분하다. 빈의 한 외교소식통은 "그간 북핵문제에서 상대적 소외감을 느껴온 러시아가 문제 해결의 한 축으로서 발언권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러시아 알렉산드르 로슈코프 외무차관은 결의안 채택 직후 "이 문제를 안보리에 가져가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으며 현 상황에서 결코 생산적이지 못하다"고 밝히고, "핵문제는 정치적.외교적 방법으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현 상황에서 안보리 회부는 결코 생산적이지 않으며, 북한으로부터 부정적인 반응만 불러일으킬 뿐이라는 것이다.

미국은 12일 백악관 성명에서 "IAEA 이사회 결의는 국제사회가 북한 핵무기 프로그램을 용인하지 않는다는 분명한 표시"라고 강조하고, "오늘의 투표는 북한 핵문제가 미국과 북한 쌍방의 문제가 아니라 북한과 세계 사이의 분쟁이라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환영했다.

일본은 "안보리 논의는 지지하지만 대북 제재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일본 외무성은 13일 대변인 담화에서 "북한이 이번 결의를 진지하게 받아들여 조속하고 검증 가능한 형태로 핵무기 개발 계획을 폐기하는 구체적인 행동을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빈=유재식 특파원, 서울=오병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