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상복합은 다 대형?…천만에

조인스랜드

입력

업데이트

[박일한기자] 얼마 전 주상복합 아파트에 살고 있다는 몇몇 독자들로부터 항의 전화를 받았습니다. 제가 최근 쓴 ‘주상복합 아파트 시세 하락폭이 일반 아파트보다 크다’는 기사 때문에 집값이 더 떨어지면 책임지겠느냐며 화를 내더군요.

대부분 주상복합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중대형에 고분양가로 분양했습니다. 집값이 오를 것으로 기대하고 투자한 사람이 많았습니다. 경기 침체로 투자수요가 사라지니 인기가 식을 수밖에 없다는 게 기사의 주된 내용이었습니다.

그 독자는 주상복합이 일반 아파트에 비해 전용률(공급면적 대비 실제 사용하는 전용면적 비율)이 낮고, 관리비도 많이 나오는 등 단점이 많다는 분석에도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자신의 주상복합은 전용률이 일반 아파트 수준이며 관리비도 많이 나오지 않는다는 겁니다.

“일반적인 주상복합의 단점을 설명한 것”이라는 저의 답변을 그 독자는 여전히 납득하지 못했습니다. 주상복합이 꼭 그럴 것이라는 오해가 문제라는 게 그의 생각이었습니다.

과거 주상복합, 요즘 주상복합과 달라

가만히 생각해보면 그의 말에도 일리가 있습니다. 현재 지어진 주상복합 아파트는 대부분 경기 상황이 좋을 때 지어진 겁니다. 그때 분양한 주상복합 아파트 상황과 지금은 많이 다릅니다.

일단 요즘 분양하는 주상복합은 실수요자를 타깃으로 한 중소형이 많습니다. 한 정보업체가 올해 분양을 했거나 분양예정인 주상복합아파트 단지 34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2곳이 84㎡이하 중소형을 포함하고 있고, 14곳은 중소형으로만 구성됐다고 합니다.

지난 18일까지 청약접수를 받은 인천 송도 캠퍼스타운이 대표적입니다. 전체 일반분양 물량 1230가구 가운데 772가구가 84(이하 전용면적) 이하로 설계됐습니다. 지난 4월 분양을 시작한 청주 두산위브지웰시티의 경우 1956가구 모두 80㎡형으로만 구성됐습니다.

동문건설이 오는 11월 수원시 인계동에서 분양하는 동문굿모닝힐과 동원개발이 경남 양산시 물금읍에 선보이는 동원로얄듀크팰리스는 모두 전용 84㎡형으로 지어지네요.

물론 위에서 언급한 단지는 다 주상복합아파트로 이쯤되면 주상복합은 중대형의 고급주택이라는 상식을 깨는 겁니다.

주상복합의 전용률은 60%대 수준으로 낮을 것이라는 상식도 무너집니다. 보통 75~80% 정도인 일반아파트 전용률보다 더 높은 주상복합도 등장했습니다.

최근 재분양을 한 동탄신도시 동양파라곤은 전용률을 82%까지 끌어올렸습니다. 동일토건이 하월곡동에 지은 동일 하이빌뉴시티의 전용률은 81%에 달합니다. 최근 분양한 광교 호반베르디움과 서울 한강로2가 동부 센트레빌 아스테리움 용산의 전용률은 각각 77% 79%입니다.

환기·통풍·관리비 문제도 해결?

주상복합의 최대 단점으로 꼽히던 환기와 통풍 문제도 해결한 곳이 많습니다. 신동아 건설이 서울 강동역 주변에서 분양하는 강동역 신동아 파밀리에는 판상형 구조로 맞통풍이 가능하도록 설계됐습니다.

센트레빌 아스테리움서울은 미닫이 방식의 슬라이딩 도어를 이용해 환기를 가능하게 했고, 일산 두산위브더제니스도 윗열기와 여닫이가 가능한 틸트앤턴(Tilt & Turn) 방식으로 창문을 90도로 열수 있다고 합니다.

환기와 통풍 문제가 해결되면 일반 아파트에 비해 비싼 관리비 문제도 거의 해결됩니다. 냉난방 설비 등을 가동하기 위한 전기료가 크게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분명 요즘 주상복합은 과거 주상복합과 다른 것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시장이 침체되면서 실수요자를 타깃으로 상품을 내놓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요즘은 어떤 부동산 상품을 평가하기 점점 힘들어지는 것 같습니다. 주상복합이 다 같은 주상복합이 아니듯, 아파트, 오피스텔, 도시형생활주택, 상가 모두 다 같지 않습니다.

오피스텔이 잘된다고 다 좋은 것은 분명이 아니듯, 상가가 잘 안된다고 다 나쁜 것은 아니라는 겁니다. 어떤 몇몇 사례가 나타났다고 모두 그럴 것이라는 ‘일반화의 오류’. 지금 부동산 시장을 바라보면서 가장 경계해야하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