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지식] 왕비가 부러우세요 조선시대 사대부는 딸들을 숨겼다는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조선의 왕비로 살아가기
심재우 외 지음, 돌베개
340쪽, 2만5000원

조선시대 왕의 배필을 찾을 땐 전국 15~20세 처녀들에게 금혼령이 내려졌다. 왕의 사돈이 될 자격이 있는 양반사대부 집안에선 의무적으로 왕실에 처녀단자를 올려야 했다. 하지만 당시 사대부들은 처녀단자를 올리지 않으려 딸을 숨기거나 나이를 늘리고 줄이는 등 갖은 방법을 동원했다 한다. 권력욕에 불타는 일부 집안을 제외하고는, 딸이 구중궁궐에 평생 갇혀 살아야 하는 왕비가 되길 원치 않았기 때문이다.

 왕의 정실 부인이자 한 나라의 국모, 간택을 받는 순간부터 자신의 선택과 무관하게 정치적 존재로 살아갈 수 밖에 없었던 조선시대 왕비의 삶을 다각도로 조명한 책이다. 그 동안 사극 등에서 그려진 왕비는 후궁과 왕의 사랑을 두고 다투거나, 외척을 등에 업고 왕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모습이 대부분. 이 같은 단편적인 조명에서 벗어나 왕비의 간택과 법적 지위, 사후(死後) 처우까지 다양한 측면을 꼼꼼히 살핀다.

 조선시대 왕비에게 맡겨진 가장 큰 임무는 왕의 자손을 출산하는 문제였다. 왕비의 임신은 국가적인 염원이기도 했다. 그러나 일단 아이가 태어나면 왕비의 역할은 크게 줄어들었다. 아이는 태어나자마자 유모에게 넘겨지고, 양육은 국가가 책임을 졌다. 조선 왕실에서 출산과 관련한 왕비의 역할은 ‘아이에게 좋은 성품을 물려주는 것’에 국한되었다고 저자들은 평한다.

 한편 왕비는 여러 의미에서 정치적일 수 밖에 없었다. 왕이 나이가 어릴 경우 궁에서 가장 어른인 대비가 국정을 대신하는 수렴청정(垂簾聽政)이 대표적이다. 이때의 대비는 단순히 왕을 보좌하거나 권한을 대행하는 존재가 아니라 실제적인 군주로 인식돼 ‘여주(女主)’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수렴청정은 성종·명종·선조·순조·헌종·철종·고종 등 총 7차례 시행됐다. 이 과정에서 식견이 부족한 대비들은 친정식구에게 기댈 수밖에 없었고, 결과적으로 외척세력에 의한 비정상적인 정국운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이 펴내고 있는 ‘조선 왕실의 일상’ 시리즈 두 번째 책으로 다소 딱딱한 서술방식이 아쉽다. 하지만 왕비 간택에도 ‘외모 지상주의’가 횡횡했다는 사실, 주종관계인 동시에 ‘왕의 여자’라는 점에서 연적이기도 했던 왕비와 궁녀의 복잡한 관계 등 흥미로운 비화가 곳곳에 담겨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