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필승법칙 때문에 문재인 후보 되자마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1987년 6월 민주화 이후 치러진 역대 대선에선 필승의 법칙이 하나 있다. 여권이든, 야권이든 단일화에 성공한 후보는 승리하고, 분열하면 진다는 법칙이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가 본선 후보로 선출되자마자 ‘공동정부-책임총리’ 카드로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과의 단일화를 최대 선거전략으로 삼은 건 이 때문이다.

 단 한 번의 예외가 2007년 12월의 17대 대선이었다. 당시 야당인 한나라당의 이명박 후보와 같은 보수진영의 이회창(무소속) 후보가 함께 출마했다. 이회창 후보가 356만 표(15.1%)를 얻은 상황에서도 이명박 후보는 2위 정동영 후보를 역대 대선 최대 격차인 531만 표 차로 눌렀다.

 단일화 법칙은 민주화 이후 첫 선거인 87년 12월 대선에서부터 만들어졌다. 당시 대선은 민주화 항쟁과 군부독재 정권교체라는 국민적 열망 아래 치러졌지만, 김영삼-김대중 후보가 단일화 협상 결렬 뒤 각각 독자 출마했다가 실패했다. 여당(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4자 필승론’이란 전략대로 역대 대통령 최저 득표율인 36.6%를 얻고도 김영삼(28.0%), 김대중(27.0%) 후보를 꺾었다.

 92년 대선에선 민정당·통일민주당·공화당 등 3당 합당으로 ‘보수대연합’을 이룬 민주자유당의 김영삼 후보가 193만 표 차로, 97년 대선을 앞두고선 자민련 김종필 총재와 ‘DJP연합’을 이룬 국민회의 김대중 후보가 39만 표 차로 승리했다.

 이어진 2002년 대선 20여 일 앞인 11월 25일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는 국민통합21 정몽준 후보와 단일화로 한나라당의 이회창 대세론을 무너뜨렸다. 민주통합당이 안철수 원장과 단일화를 이루면서 대통령 후보도 차지하는 ‘2002년 모델의 부활’을 목표로 삼은 건 ‘박근혜 대세론’을 무너뜨릴 유일한 방안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에 맞서 새누리당은 대선기획단 차원에서 “영·호남 화합, 보수-진보 이념대립 종식과 같은 빅카드로 야권 단일화 효과를 차단하겠다”며 전략 마련에 착수했다. 대선기획단의 한 관계자는 “국민들이 대선 코앞의 단일화 쇼를 이미 한 번 경험했기 때문에 안-문 단일화 이벤트 시간이 길수록 효과도 반감될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