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속 집이야기] '축제' '마이 걸'

중앙일보

입력

집은 그 곳에서 사람이 태어나고, 살고, 죽는 일까지 일어난 뒤라야 비로소 집으로 완성된다는 얘기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불과 얼마전까지만 해도 집을 집답게 만드는 것이 바로 각 종 관혼상제라고 여겼다.

그러나 아파트가 보편화하고 복잡한 도시생활이 일반화하면서 이제는 혼사나 장례는 예식장이나 병원 영안실 등 주택 밖에서 치르는 것을 당연시하게 됐다.

우리 영화 '축제' 와 미국영화 '마이 걸' 은 주택에서 장례가 치러지는 것을 세밀하게 보여주면서 죽음을 대하는 태도의 차이와 그것을 담는 주택의 기능을 비교해 보게 한다.

'마이 걸' 에 나오는 집은 미국의 교외주택가에 위치한 주택으로 홀아비인 설튼퍼스가 어린 딸과 치매증상의 어머니를 모시고 살면서 동시에 퓨너럴 홈(장의사) 을 겸하는 곳이다.

지하에는 전문적으로 시체를 염하는 장소나 냉동고 등이 갖춰져 있지만 겉으로 보기에는 평범한 주택으로, 동네 한가운데 위치해 있으면서 이웃과 나란히 지낸다. 또 장례식을 치르는 응접실도 보통 거실같이 꾸며져 장례식이 조촐하고 소박하게 조용히 거행된다.

'축제' 는 전통적인 장례행사가 자세히 묘사된 영화로 시골집 전체가, 더 나아가 동네 전체가 장례에 동원되는 모습이 그려지고 있다.

그저 일상적인 생활이 이뤄지던 평범한 시골집의 마당이 부엌인 동시에 손님들이 밥 먹는 장소가 되기도 하고, 또 장례를 치르는 식장으로 변하기도 한다. 우리 주택의 다목적적인 마당과 방들의 역할이 눈여겨 보이는 부분이다.

또 살 때는 어떤 모습이었든지 장례만은 떠들썩하게 크게 치르는 관습을 통해 장례을 다룬 영화의 제목이 왜 '축제' 인지를 생각하게 해준다.

주택의 기능이 일상적인 것만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바뀌어가는 요즈음 각종 대소사를 집에서 치르던 때의 기억을 영화를 통해 되돌아보면서 우리가 사는 집이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를 곰곰 되씹어보게 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