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의 가장 큰 걱정거리는 실업과 물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일반 서민들은 주요 경제 변수 중 실업확대와 물가상승을 가장 크게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6일 '최근 가계소비의 특성과 시사점'에 관한 연구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히고 고소득층과 사무직ㆍ자유직ㆍ전문직은 상대적으로 실업을 더 염려하는 반면 여성과 저소득층은 물가를 더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한편 주식이나 부동산 등 다른 자산가격의 변동보다는 소득 변동이 소비에 가장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정적으로 수입이 증가할 경우 49%를 저축하고 소비와 부채상환에 각각 27%, 24%를 쓸 계획인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주요 경제변수로는 물가상승(37.8%), 실업확대(37.5%)를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기업의 투자부족(9%), 수출부진(8.6%), 소비부족(5.5%)등의 순이었다.

보유주식 및 부동산 가격변동과 소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상관관계가 있다'는 대답(34.5%, 15.4%)보다 '전혀 상관이 없다'는 답변(65.5%, 84.7%)이 훨씬 많았다.

'월 고정수입이 100만원 늘어난다면 어떻게 나누어 쓸 것인가' 하는 물음에는평균적으로 약 26만9천원을 소비하고 48만8천원을 저축하며 24만4천원을 부채상환에쓸 것이라고 대답했다.

서울을 비롯한 도시 거주자보다는 읍.면 거주자들, 저소득층, 자가 보유자 및높은 연령층일수록 소비지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월 수입 300만원 이상 고소득자의 경우 21만6천원을 소비에 지출하고 28만8천원을 부채상환에 사용할 것이라고 밝혀 소비 비중은 가장 낮은 반면 부채상환 비중은 가장 높았다.

소득 중 27%를 소비하겠다는 것은 극심한 소비심리 침체를 반영한 것으로 기존의 소비성향(67.7%)이나 도시근로자 가계 소비성향(76.4%)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이라고 현대경제연구원은 설명했다.

연구원 측은 이는 경기하락에 의한 소비심리 위축과 가계부채 부담 증가가 심각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내수진작을 위해서는 감세정책과 이전지출 확대정책 등 소득정책이 소비 증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감세정책의 경우 직접적으로 소득증대 효과를 보일 수 있는 직접세에역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저소득 계층의 소비성향이 높고 이들 계층의 주요 소비품목이 수입수요 유발효과가 낮다는 점에서 이들에 대한 소득정책이 유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증시부양 정책에 대해서는 주가 변동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은 적으나 최근 소비침체의 상당 부분이 심리적 요인에 의한 것인 만큼 경기회복에 유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일반 가계가 소득에 대한 소비지출의 비중만큼 부채상환 부담을 갖고 있다며 여타의 소비진작 정책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가계 부문의 유동성 제약을 해소하는 정책을 병행해야 할 것이라고 현대경제연구원은 덧붙였다.

이 보고서는 전국의 기혼남녀 820명을 대상으로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전화설문을 통해 파악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서울=연합뉴스) 임주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